해수담수화 사업으로 대산단지의 공업용수 부족이 해결될지 주목된다.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이원욱 의원은 국토교통부로부터 제출받은 「전국토 물공급 안정화 사업 기존조사」 용역 보고서를 10월19일 공개했다.
보고서는 가뭄 및 물 부족 문제가 심각한 상황에서 기존 댐과 지표수를 활용하는 용수 공급 방안으로는 한계가 있어 해수담수화를 도입하는 방안을 적극 검토해야 한다고 지적하고 있다.
또 전국 446곳에 대해 검토한 결과 생활용수 공급 가능구역 4곳, 공업용수 공급지역으로 산업단지 10곳 등을 선정한 것으로 알려졌다.
대산단지는 반월·군산·광양·대불·울산·온산·창원·여수·포항 등과 함께 공업용수 공급지역에 포함됐으며 단기 추진지역으로 분류돼 최근 수년 동안 검토된 해수담수화 프로젝트가 급물살을 타는 것 아니냐는 기대가 확산되고 있다.
보고서는 대산단지에 대해 대규모 생산설비가 밀집돼 있으며 각종 신증설이 계획돼 있는 만큼 당장 2019년부터 용수부족이 심각해질 수 있다고 판단하고 2020년까지 해수담수화를 우선적으로 추진해야 한다고 지적하고 있다.
대산단지는 이미 해수담수화 사업에 대한 예비타당성 조사를 진행하고 있으며 2012년에 이어 2017년에도 가뭄 등으로 심각한 용수부족 사태를 겪었던 만큼 프로젝트 진행에 속도가 붙을 것으로 예상된다.
보고서는 대산단지가 해수담수화 사업을 본격화하면 하루 10만입방미터 담수를 생산하는 설비를 건설하는데 총 2200억원이 소요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이밖에 군산, 광양, 여수, 포항 공업단지는 2030년 예상 가동률이 100%를 초과할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2025년 용수부족이 발생할 것으로 예측돼 중기 사업에 포함됐으며 나머지 산업단지는 2030년 이후에 추진하는 장기 사업지로 분류됐다.
보고서는 해수 담수화 사업이 그동안 고비용, 낮은 인지도 등으로 제대로 추진되지 못했지만 세계적인 기후변화 등으로 대체 수자원 확보의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고 비용이 많이 내려가 적극적으로 검토해야 한다고 강조하고 있다. <강윤화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