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Oil(대표 오스만 알 감디)은 정유 사업 호조 지속, 비정유 사업의 선방으로 호실적을 지속하고 있다.
S-Oil은 2017년 매출이 20조8914억원으로 전년대비 28.0% 증가했고 영업이익은 1조4625억원으로 9.5% 감소했다고 공시했다. 순이익은 1조3112억원으로 8.8% 늘어났다.
매출은 울산공장 개선 사업을 완료하며 생산효율이 높아진 가운데 최대 가동률을 연중 유지하며 판매량을 대폭 확대했고 국제유가 상승으로 주력제품 판매가격이 오르면서 급증한 것으로 판단된다.
영업이익은 정제마진 상승에도 불구하고 환율 영향으로 다소 줄어들었다.
사업별 영업이익은 정유 6935억원, 석유화학 3414억원, 윤활기유 4277억원을 올리는 등 전반적으로 고른 성과를 달성했다.
특히, 비정유 사업은 매출액 비중이 석유화학 13.7%, 윤활기유 7.7%로 21.4%에 불과하나 영업이익 비중이 석유화학 23.3%, 윤활기유 29.2%로 52.6%에 달하는 등 성장을 견인한 것으로 파악된다.
S-Oil은 2018년에도 정유 사업에서 경쟁기업들의 신증설이 제한되고 수요가 꾸준히 증가하며 호조를 지속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석유화학 사업에서는 경쟁기업들의 P-X(Para-Xylene) 신증설이 본격화되며 공급이 늘어날 것으로 예상되나 전방산업의 성장으로 수요가 계속 신장해 양호한 스프레드를 유지할 것으로 기대된다.
또 벤젠(Benzene)은 제한된 신증설 속에 글로벌 경제 성장 및 신규 다운스트림 설비 가동으로 수요 신장이 이어질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PP(Polypropyelen)은 중국 정부의 환경규제로 역내 신증설이 지연되는 가운데 수요 신장으로 스프레드가 확대될 것으로 판단된다.
PO(Propyelene Oxide)는 역내 정기보수로 상반기 마진이 강세를 보이겠지만 이후 정기보수 종료와 신증설 등의 영향으로 영업이익이 다소 감소할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윤활기유 사업은 신증설 확대에도 불구하고 신규 공급기업에 대한 시장의 진입장벽이 높고 S-Oil이 주로 공급하는 고품질제품에 대한 수요가 꾸준히 이어지며 스프레드가 양호한 수준을 유지하며 호조를 지속할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 <강윤화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