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습기 살균제 성분인 PHMG(Polyhexamethylene Guanidine)를 추적할 수 있는 기술이 개발됐다.
한국원자력연구원 첨단방사선연구소 전종호 박사팀과 안전성평가연구소 전북흡입안전성연구본부 이규홍 박사팀은 가습기 살균제 물질인 PHMG가 체내에서 이동하는 형태를 방사성동위원소를 이용해 정량적으로 분석하고 영상화하는 기술을 새롭게 개발했다고 6월7일 밝혔다.
PHMG는 흡입 시 심각한 폐 섬유화를 일으키며 심하면 사망에 이르게 하는 물질로 알려졌다.
그러나 기존에 활용되고 있는 분석화학적 방법으로는 체내로 흡입된 PHMG의 움직임과 상태 등을 확인하기 어려워 가습기 살균제 노출에 의한 체내 안전성 연구에 어려움이 있었다.
원자력연구원과 안전성평가연구소는 해당 한계점을 극복하고자 공동 연구진을 구성해 각각 방사선 기술과 흡입독성연구 기술을 융복합한 새로운 방법을 고안했다.
연구진은 체내 영향을 미치지 않는 극미량의 방사성동위원소(Indium-111)를 PHMG에 라벨링했으며 첨단방사선연구소에 구축된 연구장비를 활용해 PHMG를 에어로졸 형태로 실험용 쥐에 흡입시켰다.
이후 실험용 쥐의 장기에 존재하는 방사선량을 주기적으로 측정한 결과 방사성동위원소가 붙은 PHMG는 흡입 1주일 후에도 약 70% 이상이 폐에 남아 있는 것이 관찰됐다.
또 폐에 축적된 PHMG 가운데 약 5%는 간으로 이동하는 것을 관찰해 폐 이외의 다른 장기에도 PHMG가 독성을 유발할 수 있는 가능성을 발견했다.
한국원자력연구원 첨단방사선연구소 정병엽 소장은 “연구결과가 호흡기를 통해 유입되는 미세먼지, 라돈, 생활화학제품 등 다양한 물질들의 유해성과 체내 분포 연구에 폭넓게 활용됨으로써 보건의학 분야 연구와 생활제품의 안전기준 강화 등에 기여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해당 연구는 환경부 생활공감환경보건기술개발 사업을 통해 수행됐으며 결과는 환경공학 분야의 저명한 국제 학술지인 Chemosphere 5월25일자 온라인에 게재됐다. <강윤화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