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스켓(Gasket)용 접착제가 전장부품 등장에 따라 변화되고 있다.
화학경제연구원(원장 박종우)이 주최한 10월25일「미래형 자동차 소재 및 경량화 기술 세미나」에서 헨켈 코리아 이동화 이사는「e-Mobility 시대를 열어주는 미래 자동차 접착 솔루션」주제 발표를 통해 “내연기관이 사라지는 것은 해석하기 나름이며 하이브리드(hybrid) 자동차에도 내연기관은 기본으로 탑재되어 있어 가스켓의 수요는 줄어들지는 않을 것”이라고 밝혔다.
가스켓은 전장부품용에서도 사용이 가능한데 내연기관은 안에서 밖으로 새는 것을 막는다면 전장부품용은 밖에서 안으로 들어오는 것을 막기 위해서 사용한다.
자동차 업계의 모든 주요 OEM(주문자위탁생산)사들은 하이브리드 자동차와 전기자동차(EV)를 출시함에 있어 새로운 구동 개념과 제조 방식을 지원하도록 설계된 맞춤형 기술을 위해 혁신적인 접착 솔루션을 제공하고 있다.
FIPG(Formed In Place Gasketing)은 접착으로 실링(Sealing)을 하는 방법인데 대중적이며 가성비가 좋고 접근성이 쉽고 빈틈에 대한 실링이 좋아 설계상의 고민요소가 줄어든다고 밝혔다.
이동하 이사는 “두께를 조절해서 실링을 할 수 있어 설계자 입장에서는 설계의 자유가 생긴다”고 밝혔다.
CIPG(Cured In Place Liquid Gasket)는 실링을 액상으로 나중에 경화시켜서 만드는 고무가스켓이며 도포형태에 따라 모양 컨트롤이 된다.
이동하 이사는 “액상 가스켓은 아직까지 시작단계이지만 충분한 경쟁력이 있다”고 주장했다. <김수연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