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진화학(대표 안성철)이 전도성 고분자를 신규 개발했다.
한진화학은 최근 미래를 선도할 유기 전자소재로 주목받고 있는 전도성 고분자 개발을 마치고 국내 관련 전문가들을 한자리에 모아 전도성 고분자 나노입자의 최신 연구동향 세미나를 개최한 것으로 알려졌다.
전도성 고분자는 연세대학교 나노소재 원천기술 개발산업 연구단과 공동 개발한 것으로, 세미나에서는 국내외 전도성 고분자 연구현황과 응용소자에 대한 내용을 발표하고 함께 의견을 공유했다.
연세대학교 김중현 교수와 박종혁 교수가 전도성 고분자의 도핑제어를 통한 유기태양전지 응용 연구에 대해, 동국대학교 노용영 교수는 고성능 전도성 고분자 패터닝 기술 및 광전자소자 전극 응용, 전기연구원 한중탁 박사는 유연소자를 위한 플렉서블(Flexible) 전극연구에 대한 내용을 발표했다.
한진화학 안성철 회장은 “기존에 수입에만 의존하던 전도성 고분자를 국내에서 개발 및 대량생산하게 됐다는 점에 의미가 있다”며 “한진화학이 국내외 전도성 고분자 시장을 선도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전자소재 시장에서는 최근 가볍고 휴대하기 편한 전자기기가 생활의 필수요소로 자리잡으며 유기물 기반의 소재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특히, 전도성 고분자는 무기물 소재에 비해 가격경쟁력, 유연성, 공정성 등의 장점을 가지고 있어 현재 대표적인 투명전극 소재인 ITO(Indium Tin Oxide)를 대체할 수 있는 차세대 유기 전자소재로 주목받고 있다.
또 수분산 형태의 전도성 고분자 나노입자 대량생산을 통한 용액공정 시스템이 가능하기 때문에 전기적 특성을 손쉽게 제어하여 투명 박막필름으로 제조하기가 수월하고 대전방지 보호필름부터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 유기태양전지, 전기변색 스마트필름 등 폭 넓은 분야에 응용이 가능하다.
한진화학은 세미나에서 대전방지, 투명전극, 정공수송층 소재 등 다양한 생산제품에 대한 특성도 함께 소개했다. <강윤화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