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이 시작한 무역전쟁이 중국, 멕시코에 이어 인디아로 확산되고 있다.
인디아는 2019년 6월16일부터 미국산 사과, 아몬드와 화학제품 등에 70%에 달하는 관세를 적용하기로 결정했다고 밝혔다.
미국이 인디아를 특혜무역 프로그램에서 제외한데 따른 보복으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맞대응에 나설지 대화를 통해 새로운 관계를 정립할지 관심이 모이고 있다.
CNN비즈니스, 파이낸셜타임스(FT) 등에 따르면, 인디아 재무부는 6월15일 구체적인 적용규모는 밝히지 않은 채 미국산 수입제품에 최대 70% 관세를 물리기로 했다고 발표했다.
관세 대상은 일단 소규모에 그칠 것으로 전망되나 인디아 정부가 세계무역기구(WTO)에 밝힌 보복관세 대상 수입규모는 2억4100만달러 정도로 파악되고 있다.
인디아는 2018년 미국의 철강·알루미늄 관세에 대항해 미국산에 보복관세를 매기기로 결정했지만 보복관세는 양국 간 대화가 지속되면서 여태 연기돼 왔다.
그러나 트럼프 대통령이 6월 첫째주 인디아를 무관세가 적용되는 무역특혜 프로그램에서 제외하면서 상황이 달라진 것으로 분석된다.
오토바이, 위스키 등을 수출하는 미국기업들이 인디아의 관세로 수출이 지장을 받고 있다고 호소했기 때문으로,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개발도상국에 적용되는 무역특혜 프로그램 지위를 박탈함에 따라 인디아는 미국 수출 가운데 60억달러 상당이 관세를 물게 됐다.
미국 국무부에 따르면, 2018년 양국 간 재화·서비스 무역규모는 1420억달러에 달했으며 해당 조치는 소규모에 불과하나 양국 간 마찰이 본격화될 불씨로 작용할 가능성도 제기되고 있다.
앞으로 양국 고위급 회담이 무역갈등의 방향을 결정할 것으로 예상된다.
미국과 인디아는 인디아 당국이 아마존(Amazon), 월마트(Walmart) 산하의 플립카트 등 전자상거래 공룡들에 대한 규제에 나서면서 미국기업들의 반발을 샀고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인디아의 이란산 원유 수입과 러시아산 S-400 대공미사일 시스템 도입 시도를 강하게 비판하며 관계가 악화되고 있다. (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