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쓰오일(대표 후세인 알 카타니)이 2019년 상반기에 정기보수를 모두 마쳐 하반기부터 영업실적 개선이 본격화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원민석 하이투자증권 연구원은 “에쓰오일은 3분기부터 정기보수에 따른 기회비용이 소멸된다”며 “하반기 정유 시황도 우호적으로 돌아설 것으로 예상돼 큰 폭의 영업실적 개선이 기대된다”고 강조했다.
에쓰오일은 2019년 3-4월 정유공장과 윤활기유 생산설비, 3-7월 P-X(Para-Xylene) No.2 설비 등을 정기보수했으며 3분기부터 정유부문과 윤활기유부문의 기회비용 전체와 석유화학부문의 기회비용 상당 부분이 소멸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2분기 정기보수로 정유부문 550억원, 석유화학부문 400억원, 윤활기유부문 50억원의 기회비용이 발생했던 점을 고려하면 기회비용 소멸에 따른 영업실적 개선 효과가 클 것으로 판단된다.
국제해사기구(IMO)의 환경규제에 따른 수혜도 기대되고 있다.
국제해사기구는 2020년부터 선박 연료유의 황산화물 함량 기준을 기존 3.5%에서 0.5%로 낮추는 규제를 시행할 예정이며 황 함량이 낮은 저유황유 생산설비를 갖춘 정유기업들이 수혜를 볼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에쓰오일은 황함량이 많은 벙커C유 등 고유황유를 투입해 저유황유를 생산하는 잔사유 고도화설비(RUC)를 가동하고 있다.
원민석 연구원은 “아시아와 유럽을 오가는 장거리 운항 선박들의 항해기간이 2개월임을 감안해 10월부터 저유황유의 수요 증가가 본격화될 것”이라고 주장했다.
미국과 유럽에 정제설비를 보유한 글로벌 정유기업들의 정기보수 일정이 9-10월 집중돼 있어 에쓰오일이 볼 수혜의 폭은 더욱 커질 것으로 예상됐다.
에쓰오일은 2019년 매출이 25조3945억원으로 전년과 비슷한 수준을 유지하지만 영업이익은 7432억원으로 전년대비 9.2% 증가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