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코에너지는 연료전지 투자와 관련해 노사 간 의견 차이에 부딪치고 있다.
포스코에너지는 1969년 창립한 경인에너지를 모태로 2005년 포스코가 설립한 발전 및 연료전지 제조·판매·건설·장기서비스계약(LTSA)을 영위하는 전문기업으로, 2008년 포항에 연료전지 BOP 공장을 완공하면서 연료전지 사업에 진출했다.
그동안 사업 부진 등으로 어려움을 겪었으나 최근 수소 자동차 등이 새로운 성장동력으로 부각되면서 9월 이사회 및 주주총회를 거쳐 기존 연료전지분야 사업에 대한 물적분할을 통해 11월1일 한국퓨얼셀(가칭)을 설립하고 다시 연료전지 시장에 진출하기로 했다.
연료전지는 수소와 산소의 전기화학 반응으로 전기를 생산해 연소과정이 없기 때문에 물과 열 외에 별도의 부산물이 없는 친환경성, 자연환경에 영향을 받지 않는 공급 안정성까지 갖추어 시장이 연평균 20%대 가파른 성장세를 나타낼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포스코에너지는 현행 발전 사업과 연료전지 사업 분할을 통해 인력과 자원을 효율적으로 분배해 경쟁력을 강화할 계획이다.
포스코에너지 관계자는 “연료전지 전문법인을 설립해 독립·자율적인 경영과 빠른 의사결정으로 시장을 선점하고 미국 퓨얼셀에너지(FuelCell Energy)와 비즈니스 파트너십을 강화함으로써 관련 시장을 주도할 수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하지만, 분할되는 연료전지 분야 직원들의 입장은 회사측과 다른 것으로 알려졌다.
포스코에너지 직원들은 물적분할 관련 지속가능 여부 판단을 위한 자료도 제공하지 않고 동등한 수준이라며 직원들을 분사되는 자회사로 보내려 하고 있다고 불만을 터뜨리고 있다.
또 분사 후 지속 가능하려면 원천기술을 보유한 미국 퓨얼셀에너지와 문서상 계약이 선행돼야 하지만 계약마저도 불확실한 상태에 있는 등 직원들의 분사 반대에도 불구하고 일방적으로 물적분할(포괄적승계)을 강행 하고 있다고 주장하고 있다.
일부에서는 분사 후 연료전지 사업이 포스코에너지의 연료전지 정비 용역 수준으로 전락할 것이라며 직원정리를 위한 하나의 방편에 불과하다고 비난하고 있다.
직원 A씨는 “회사측이 최근 수년 동안 연료전지 생산은 물론 판매도 하지 못하게 하고 적자를 이유로 분사하는 것이 문제”라면서 “직원들에 대해 어떠한 설명도 하지 않은 점도 문제”라고 강조했다.
다만, 포스코 측은 최근 전체 직원에게 분사 문제와 관련해 신분에 전혀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는 내용이 담긴 메일을 보냈다고 반박하고 있다. (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