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PC(플렉서블 프린트 기판)가 중국 로봇 시장에서 주목받고 있다.
중국에서는 공장의 스마트화가 진행되고 있는 가운데 산업용 로봇 개발·도입이 가속화되고 있으며 로봇 암 등 관절부분에서는 현재 케이블
을 다량 사용하고 있어 FPC로 대체하면 더욱 정교한 움직임과 높은 내구성을 실현할 수 있다는 기대감이 확산되고 있다.
FPC 생산기업 및 관련 소재와 부품을 생산하는 관련기업들에게 새로운 사업기회로 작용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제조업 강화를 목표로 한 중국 정부의 전략 중국제조 2025와 스마트 공장 보급 등을 타고 중국에서는 산업용 로봇 시장이 성장세를 나타내고 있다.
산업용 로봇 관련 국제단체인 국제로봇연맹(IFR)에 따르면, 2017년 전세계에 판매된 산업용 로봇은 38만7000대였으며 3분의 1에 해당하는 13만8000대가 중국에 설치됐다.
중국 로봇 시장은 성장률도 높은 수준인 것으로 알려졌다. 글로벌 로봇 판매대수는 2016년 29만4000대에서 2017년 38만7000대로 31% 증가한 반면 중국은 2016년 8만7000대에서 2017년 13만8000대로 58% 급증했다.
2018년부터는 FA(Factory Automation) 불황이 우려되고 있는 상황이나 5G통신 보급을 타고 2020년 이후 수요가 회복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로봇산업과 부품산업에 대한 기대도 확대되고 있다.
특히, 로봇 관절부에 사용하는 부재가 주목받고 있는 가운데 로봇 암 등 접고 펴는 동작을 반복적으로 실시하는 부분에는 일반적으로 회로기판이 아닌 케이블이 사용되고 있으나 FPC 대체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
최근에는 로봇을 통한 산업현장의 완전 자동화보다는 사람의 작업을 지원하는 협동로봇 수요가 빠르게 증가하고 있으며 더 정교한 동작을 실현하거나 공간을 절약하기 위한 니즈도 함께 확산되고 있다.
케이블 대신 FPC로 대체하면 해당 니즈들을 모두 충족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자동차 전장부품과 산업용 로봇에 주력하고 있는 덴소(Denso)는 협동로봇에 FPC를 채용해 제안하고 있다.
공업용으로 투입이 가능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자동차부품 조립 공장에서 작업자의 팔에 설치해 보조적인 작업을 실시하는 등의 활동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되고 있다.
배선부분 일부에서 FPC를 사용한 것이 특징이며 정교한 동작과 공간 절약, 설계자유도 향상 등을 실현한 것으로 판단된다.
OKI는 케이블과 FPC를 모두 생산하고 있으며 OKI의 FPC 복합 케이블은 1억번 접고 펴는 동작에도 대응이 가능한 것이 강점이다.
이미 일본 로봇 생산기업에 채용된 상태이며 중국기업들의 수요도 상당하지만 케이블 대신 점차 현지 FPC 사업을 확대해나갈 계획인 것으로 알려졌다.
중국에도 FPC 생산기업이 있으나 대부분 컴퓨터, 가전 등에만 투입하고 있으며 산업용 로봇 시장에 대응하는 곳은 거의 없는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OKI는 생산제품의 강점과 일본에서 실현한 수요처 맞춤제작 체제 등을 활용해 중국에서도 영향력을 확대해나갈 방침이다. (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