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이노베이션이 국내 배터리 3사 가운데 대표이사 연봉이 가장 높았던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LG화학, 삼성SDI, SK이노베이션 등 국내 배터리 3사가 3월30일 금융감독원에 제출한 2019년 사업보고서에 따르면, 연봉이 5억원 이상인 등기임원은 LG화학 3명, 삼성SDI 3명, SK이노베이션 2명이었다.
SK이노베이션 김준 대표가 32억원을 받아 가장 많았고, LG화학 신학철 대표와 삼성SDI 전영현 대표는 각각 15억원과 17억원을 수령했다.
퇴직 임원은 김창근 전 SK이노베이션 이사회 의장이 120억원이 넘는 퇴직금을 받았으며, LG화학 박진수 전 대표는 55억원을 기록했다.
LG화학은 △박진수 고문 72억8200만원 △신학철 대표 15억3700만원 △정호영 LG디스플레이 대표 46억400만원을 지급했다.
박진수 고문은 2019년 정기인사를 통해, 정호영 대표는 2019년 9월 인사로 LG화학 최고경영자(CEO)와 최고재무책임자(CFO)에서 물러났다.
박진수 고문과 정호영 대표의 퇴직금은 각각 55억2800만원과 35억9900만원이었고 신학철 대표는 급여만으로 15억3700만원을 기록했다.
삼성SDI는 △전영현 대표 16억7600만원 △안태혁 부사장 8억8200만원 △권영노 부사장 8억4700만원을 지급한 것으로 알려졌다.
전영현 대표는 급여 10억4200만원에 상여 5억4400만원 등을 받았고, 안태혁 부사장과 권영노 부사장의 급여는 각각 5억6100만원과 5억5700만원에 나머지는 상여로 파악되고 있다.
SK이노베이션은 △김창근 전 이사회 의장 137억7100만원 △김준 대표 31억5200만원을 지출했다.
김창근 전 의장은 2019년 3월 은퇴해 퇴직금 123억5800만원을 받았고, 김준 대표는 급여 10억6000만원에 상여 20억8500만원 등을 수령했다.
비등기임원 포함 보수 5억원 이상 상위 5명 지급액은 LG화학이 △박진수 고문 △유진녕 고문(49억3800만원) △정호영 대표 △손옥동 사장(21억800만원) △김종현 사장(17억6800만원) 순이었다.
유진녕 고문은 박진수 고문과 함께 LG화학을 떠나며 41억4600만원 퇴직금을 수령했고 손옥동 사장은 급여 11억6100만원에 상여 9억4700만원 등을, 김종현 사장은 급여 11억2500만원에 상여 6억4300만원을 수령했다.
삼성SDI는 김윤근 전무와 장혁 부사장이 각각 10억3200만원과 8억2800만원으로 순위에 들었다.
준법지원팀장인 김윤근 전무 보수는 급여 4억9100만원에 상여 4억3900만원 등이고, 전자재료사업부장인 장혁 부사장의 보수는 급여 4억6600만원과 상여 2억9900만원으로 파악된다.
SK이노베이션은 퇴직자가 다수였다.
△강선희 전 부사장 30억4700만원 △이항수 전 SK수펙스추구협의회 PR팀장 27억1200만원 △허진 전 SK경영경제연수소 연구위원 20억4000만원이었고 퇴직금은 △강선희 전 부사장 21억3500만원 △이항수 전 팀장 17억4900만원 △허진 전 연구위원 15억600만원으로 알려졌다.
2019년 직원수와 1인당 평균 급여액은 △LG화학 2만162명과 8800만원 △삼성SDI 1만1179명과 7800만원△SK이노베이션 2082명과 1억1600만원으로 파악되고 있다. (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