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디아 경찰이 LG화학 직원 12명을 체포했다.
인디아 남부 안드라프라데시(Andhra Pradesh) 경찰은 7월7일(현지시간) LG화학의 인디아 PS(Polystyrene) 생산법인인 LG Polymers India 정선기 법인장과 기술 고문 등 한국인 직원 2명과 현지 직원 10명을 체포하고 본격적인 사고 조사에 착수했다고 밝혔다.
LG Polymers India는 LG화학이 1996년 인디아에 진출하며 인수한 최초의 현지 사업장으로, 한국인 직원은 4명이 근무하고 있다.
5월7일에는 SM(Styrene Monomer) 가스가 누출돼 수백명이 병원으로 이송됐으며 12명이 사망했다.
현지 경찰이 사고 직후부터 피해자 조사 등을 벌였으나 LG Polymers India 관계자 등에 대한 기소 여부는 결정하지 않은 상태이며 체포된 직원에 대한 석방 여부는 7월8일 오후 결정될 것으로 알려졌다.
안드라프라데시 경찰은 주정부의 사고조사 상황 등을 고려해 본격 조사 개시를 늦춘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안드라프라데시 주정부는 사고 후 조사위원회를 구성해 사고 경위를 조사했으며 7월7일 성명을 내고 LG화학의 관리 태만 과실로 사고가 발생했다고 지적했다.
사고 조사위는 보고서에서 21개 주요 원인 가운데 20개가 LG화학 경영진 책임이라고 지목하고 공장을 주거지에서 멀리 떨어진 곳으로 이전하라고 권고했다.
주경찰은 조사위 보고서가 공개되자마자 바로 본격 수사에 돌입해 직원 체포에 나선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LG화학 관계자는 “그동안 사고 조사에 적극적으로 협조했으며 앞으로도 성실하게 대응하겠다”며 “유가족과 피해자를 위해서도 정부 기관과 협의해 가능한 모든 지원을 하겠다”고 강조했다.
LG화학은 사고 직후 200여명의 전담 조직을 구성해 지역 주민을 대상으로 보상 활동을 펼쳤다. 5월12-24일 19만명 분량의 음식을 제공했고 민원 콜센터를 통해 주민들로부터 100여건의 민원을 접수했다.
해당 사고와 관련해서는 인디아 환경재판소(NGT)에서도 조사를 진행한 바 있다.
환경재판소는 산업 프로젝트가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고 제조업들의 환경 규정 준수 여부를 감시하는 일종의 특별 법원이다.
LG화학은 환경재판소의 명령에 따라 5월 하순 손해배상 대비용으로 5억루피(약 80억원)를 공탁했다.
이밖에 피해 주민, 환경단체 등의 민사 소송도 제기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인디아는 형사 재판이 상고심까지 진행하면 대개 2-3년 이상 걸리고 민사는 법원에 밀린 소송이 워낙 많아 길게는 10년 이상 소요되는 것으로 알려졌다. (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