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연구진이 화학사고에 대한 적중률과 안전성이 뛰어난 새 중화제를 개발했다.
한국화학연구원은 유해오염물질 제거용 중화제 제조기술을 개발해 중소기업 JNK히터에게 이전했다고 7월14일 밝혔다.
화학연구원이 개발한 중화제는 과립형으로 화학물질 누출사고가 발생했을 때 분사해 산성·염기성 화학물질을 중화할 때 사용할 수 있다.
먼 거리에서 살포할 수 있고 중화열도 섭씨 60도 이하로 낮아 기존 분말형 중화제보다 안전성이 높은 것이 특징이다.
기존 분말 소석회 중화제는 중화열이 180도로 높아 가까이 접근하기 어려웠으나 새로 개발한 중화제는 자체 발열량이 적을 뿐만 아니라 중화제에 사용된 점토가 중화 반응속도를 늦추어 열을 서서히 발생시키는 것으로 알려졌다.
또 실험 결과 새로 개발한 중화제는 15미터 떨어진 거리에서 25평방미터 넓이의 표적에 80%의 적중률을 나타냈다. 기존 분말 소석회 중화제 적중률(10%)보다 월등히 높은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95% 황산 유해화학물질이 누출된 조건에 투입해 실험했을 때 1시간 후 95%가 중화된 것으로 확인됐다.
중화제는 산성 화학물질용과 염기성 화학물질용으로 나누어 제조했다.
안쪽에 점토를 넣고 바깥에는 각각 탄산수소나트륨(산성 화학물질용), 황산알루마늄수화물(염기성 화학물질용)을 사용했으며 중화 반응으로 발생하는 중화열을 실제로 측정해 컴퓨터 시뮬레이션 값과 비교함으로써 최적의 중화제를 도출했다.
특히, 염기성 화학물질용 중화제는 처음으로 개발한 것이어서 주목된다. 그동안 물로 희석해왔지만 중화 제거가 가능해졌다.
유병환 화학연구원 박사는 “중화제 바깥층에는 지시약을 코팅, 화학물질의 산·염기 여부를 감별할 수 있도록 했다”며 “화학사고 발생 시 신속한 초동 대응에 기여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