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소제 DOP(Dioctyl Phthalate)가 급락세로 전환됐다.
아시아 DOP 시장은 옥소알코올(Oxo Alcohol) 폭등 사태의 영향을 받아 대폭등했으나 옥소 대폭락에도 급락에 그쳤다.

DOP 시세는 8월12일 CFR China 톤당 1975달러로 75달러 급락했으나 CFR SE Asia는 1970달러로 20달러 하락에 머물렀다.
7월29일에는 원료 2-EH(Ethylhexanol)가 CFR China 톤당 2300달러, CFR SE Asia 2340달러로 각각 200달러 대폭등한 영향으로 DOP도 CFR China 2050달러로 120달러 폭등했으나 8월12일 2-EH가 CFR China 2140달러로 160달러 대폭락했음에도 불구하고 75달러 하락에 그쳤다.
특히, CFR SE Asia는 2-EH가 2155달러로 185달러 대폭락했음에도 불구하고 DOP는 1970달러로 20달러만 떨어져 의구심을 증폭시키고 있다.
원료 무수프탈산(Phthalic Anhydride)은 O-X(Ortho-Xylene) 코스트를 이유로 현물가격 인상을 강하게 요구했으나 DOP 생산기업들이 거부해 보합세에 머물렀고 CFR China는 855달러, CFR SE Asia는 900달러를 형성했다.
타이완의 난야플래스틱(Nanya Plastics)이 7월 말부터 연말까지 O-X(Ortho-Xylene) 강세를 이유로 마일랴오(Mailiao) 소재 무수프탈산 4개 라인 중 1라인과 4라인 가동을 중단했음에도 불구하고 공급과잉이 심해 급‧폭등으로 이어지지 않았다. 1-2라인은 생산능력이 각각 6만5000톤, 3-4라인은 각각 5만톤이다.
난야플래스틱은 무수프탈산을 월 1만7800톤 생산해 4000톤은 가소제용으로 자가소비하고 1000톤은 내수에 공급하고 있으며 나머지 1만2800톤은 수출하고 있다.
난야플래스틱은 무수프탈산의 O-X 원단위 0.92를 적용하면 O-X 2만톤 정도가 필요한 상태이나 1‧4 라인 가동중단에 따라 1만1000톤으로 줄어든 것으로 파악된다.
난야플래스틱은 무수프탈산 가동률이 6월 75%, 7월 50% 수준을 유지했고 9월에는 수출량을 9500톤으로 줄이고 나머지는 DINP(Diisononyl Phathalate) 및 DOP 생산에 주력할 계획이다. (박한솔 선임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