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코케미칼(대표 민경준)이 전기자동차(EV) 배터리 핵심 소재인 저팽창 음극재 투자를 확대한다.
포스코케미칼은 2월25일 이사회를 열어 저팽창 음극재 생산능력을 7000톤에서 3만5000톤으로 확대하기로 결정했다.
1054억원을 투자해 세종에 건설하고 있는 천연흑연 음극재 공장을 저팽창 음극재 전용 생산라인으로 변경하고 2023년부터 양산을 시작할 계획이다.
저팽창 음극재는 포스코케미칼이 독자 기술로 개발했으며 전기자동차 배터리에 꼭 필요한 안정성·수명·충전속도 등의 성능은 크게 높이면서 가격은 낮춘 소재이다.
음극재는 원료에 따라 천연흑연계와 인조흑연계로 구분되며 포스코케미칼은 천연흑연을 원료로 사용하면서도 소재 구조를 판상형에서 등방형으로 개선해 기존 천연흑연 음극재 대비 팽창률은 25% 낮추고 급속충전 성능은 15% 향상시켰다.
인조흑연에 비해 제조원가를 낮추면서도 공정에서 발생하는 탄소배출량을 줄여 친환경성을 높였다.
포스코케미칼은 전기자동차 주행거리 증대, 충전시간 단축 등의 기술 동향과 글로벌 배터리 및 전기자동차 생산기업의 수주 증대에 대응하기 위해 투자를 확대하기로 했다.
아울러 최근 음극재 원료인 흑연의 공급망 안정성과 제조원가, 탄소배출량 저감 등의 중요성이 높아지는 가운데 천연흑연·저팽창·인조흑연·실리콘 음극재를 생산하는 풀 포트폴리오(Full Portfolio)를 구축할 계획이기도 하다.
민경준 포스코케미칼 사장은 “기술을 바탕으로 차별화된 배터리 소재를 양산해 시장 격차를 확보하기 위한 노력”이라며 “수요에 차질없이 대응하고 전기자동차 성장에도 기여하겠다”고 강조했다. (홍인택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