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코케미칼(대표 민경준)은 본사 이전을 둘러싸고 전라남도 등과 마찰을 빚고 있다.
전라남도, 광양시, 전라남도의회, 광양시의회, 광양상공회의소는 포스코와 포스코케미칼 본사 광양 이전과 차후 신규법인 설립 시 본사 광양 설치를 요구하고 있다.
3월15일 전라남도청 브리핑룸에서 진행한 포스코 지주사 포항 이전 관련 상생협력 촉구 성명에서는 “포스코 지주사 전환 결정 과정에서 광양 등 지역사회가 포스코로부터 철저히 소외되고 무시됐다”며 “지역민이 자존감에 큰 상처를 입고 심한 박탈감마저 느끼고 있다”고 토로했다.
이어 “광양제철소가 시설이나 조강 생산량에서 포항에 앞서지만 포스코의 주요 의사결정이나 대규모 지역협력 사업은 포항 위주”라며 “포스코 경영이념에 걸맞게 지역사회와 동반성장하도록 상생발전 요구를 즉각 수용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전라남도 등은 포스코·포스코케미칼 본사 광양 이전 및 차후 신규법인 설립 시 본사 광양 설치 외에도 포스코 미래기술연구원 내의 수소 저탄소에너지 연구소와 2차전지 소재 연구소 광양 이전을 요구하고 있다.
또 기존에 약속한 전라남도 지역에 대한 5조원 투자 계획의 차질 없는 이행과 2차전지 등 신규사업 분야 투자 확대, 광양제철소 구매팀 신설과 지역기업 구매물량 목표제 실시, 광양지역상생협력 협의회에 포스코홀딩스와 포스코의 의무 참여 및 지역협력사업 추진을 촉구하고 있다.
포스코는 1월 주주총회를 거쳐 지주사 체제 전환을 선언하고 그룹 전체의 전반적 경영전략과 신규투자 등을 주도할 지주사 포스코홀딩스의 본사를 서울로 결정했다.
그러나 포항시의 요구로 2월 기존 결정을 뒤집어 포스코홀딩스와 미래기술연구원의 본사 소재지를 모두 포항으로 변경하기로 합의했다.
이에 따라 포항시와 정치권의 포스코에 대한 경영간섭으로 전라남도 지역에 대한 투자 계획이 언제든 위축될 수 있다는 우려가 지역사회에 확산되면서 상생협력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는 의견이 확대됐다. (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