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화학(대표 신학철)이 플래스틱 순환경제 구축을 위한 열분해유 공장 건설을 본격화한다.
LG화학은 국내 최초 초임계 열분해유 공장의 충청남도 당진 석문국가산업단지 입주 인허가 승인을 받음에 따라 2022년 3분기 석문단지에 화학적 재활용(CR: Chemical Recycle) 기술을 적용한 열분해유 공장을 본격 착공할 예정이다.
폐플래스틱 처리능력 기준 2만톤 공장을 2024년 1분기까지 건설할 계획이다.
열분해유는 폐플래스틱에서 추출하는 재생 연료로 새로운 플래스틱 생산을 위한 원료로 사용할 수 있다.
현재 버려지고 있는 과자 봉지나 즉석밥 비닐 뚜껑, 용기 등 복합재질 PE(Polyethylene), PP(Polypropylene) 등을 열분해한 뒤 가장 초기 원료인 나프타(Naphtha)를 추출해 다시 석유화학 공정에 사용하는 방식이며 임계점 이상의 고온·고압 초임계 수증기로 폐플래스틱을 분해하는 화학적 재활용 기술을 적용할 계획이다.
직접적으로 열을 가하는 기술과 달리 열분해 과정에서 탄소 덩어리(그을림) 생성을 억제해 별도의 보수 과정 없이 연속 운전이 가능하며 약 10톤의 비닐·플래스틱을 투입하면 8톤 이상의 열분해유를 만들 수 있어 생산성도 최고수준으로 파악된다.
나머지 2톤 가량의 부생가스는 초임계 수증기 제조 등 공장 운전을 위한 에너지로 재사용할 예정이다.
LG화학은 열분해유 공장이 본격 가동되면 실질적인 검증과 시장 상황 등을 고려해 추가적인 증설도 검토할 방침이다.
LG화학은 열분해를 비롯한 화학적 재활용 기술을 자체 개발하기 위한 연구개발(R&D)을 진행하고 있으며 국내에서 관련 재활용 기술 및 원재료를 보유한 연구기관, 중소기업, 스타트업 등과의 협력도 확대할 계획이다. (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