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정수소발전 의무화제도(CHPS)가 전력 비용 부담을 가중시킬 가능성이 우려된다.
정부가 청정수소 사용 촉진을 위해 6월 도입하는 CHPS가 오히려 수소 산업계의 경쟁력을 약화하는 부메랑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제기됐다.
김철진 SK어드밴스드 대표는 한국화학공학회 춘계학술대회에서 “현재 청정수소가격으로 전기를 생산하면 kWh당 400원 정도”라며 “전력시장가격(SMP)의 3배인 전기를 한국전력이 구매해 팔면 산업용 전기가격이 올라 부담을 줄 수 있다”고 지적했다.
수소경제 활성화 정책에 대해서도 방법론 측면에서 산업계와의 논의가 필요해지고 있다.
김철진 대표는 “외국은 청정수소를 생산할 때 보조금을 주지만 우리는 전력에 연계해 수요 연계 방안이 걱정된다”고 평가했다.
국가 온실가스 감축 목표(NDC) 역시 정부 수정안에서 목표 달성량을 완화하고 전력 생산영역의 감축량을 높여 산업계의 부담을 덜어주는 효과가 있으나 한국전력이 부담을 떠안기 때문에 전력가격 인상으로 이어질 수 있다.
한편, 세계 최고 수준인 국내 수소 활용 기술과 달리 수전해 등 생산·저장 기술은 아직 부족해 정부의 연구전략이 중요하게 작용할 것으로 예상된다.
한종희 한국에너지공대 교수는 “수전해는 150년 전 상용화를 이룬 유럽을 따라가기 쉽지 않았으나 후발주자이던 중국이 어느새 세계 1위에 가까워졌다”며 “초격차를 유지하거나 선진국을 따라가려면 연구 전략적 측면이 보완돼야 하고 대단위 투자 또한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윤우성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