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에너지솔루션(대표 김동명)이 업황 악화에도 불구하고 양호한 영업이익을 거두었다.
LG에너지솔루션은 3분기 연결 기준 매출이 6조8778억원으로 전년동기대비 16.4% 감소했으며 영업이익은 4483억원으로 38.7% 급감한 것으로 잠정 집계됐다. 전기자동차(EV) 캐즘(Chasm: 일시적 수요 정체)을 고려하면 선방한 것으로 평가된다.
2분기와 비교하면 매출은 11.6% 증가했고, 영업이익은 129.5%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미국 인플레이션 감축법(IRA) 첨단 제조 생산 세액공제(AMPC) 금액 4660억원을 제외한 영업이익 역시 마이너스 177억원으로 2분기보다 크게 개선됐다.
주요 유럽 완성차기업 공급물량이 늘었고 북미와 인도네시아 합작법인의 생산 증가, 북미 전력망 중심의 에너지저장장치(ESS) 호조로 매출이 확대됐으며 출하량 증가에 따른 가동률 개선과 금속가격 하향 안정화로 영업이익에서 차지하는 단위당 원가 부담도 감소한 것으로 분석된다.
LG에너지솔루션은 신규 원통형 폼팩터 50GWh 공급계약을 비롯해 신규 NCM(니켈·코발트·망간) 파우치 대형 수주, 폴란드 공장 생산 효율성 개선, 스텔란티스와(Stellantis)의 합작법인 넥스트스타에너지(NextStar Energy)의 모듈 출하 개시 등 최근 사업 성과를 과시하고 있다.
아울러 ESS 발전소를 기점으로 하는 에너지 통합관리 사업, 고전압 미드니켈 CTP(셀 투 팩) 개발, 종합 배터리 관리 솔루션 사업 본격화 등 포트폴리오를 다각화하고 있다.
오창공장은 4680 신규 라인 양산이 임박한 가운데 주요 수요기업과 공급 일정을 협의하고 있으며 다수의 수요기업과 46시리즈 공급에 대해 긴밀히 소통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증설 중인 애리조나 공장은 2026년 이후 공급할 예정이다.
배터리 가격 및 효율성 측면에서는 단입자 양극재, 실리콘(Si) 음극재 적용을 확대하고 2028년부터 건식 전극 공정을 적용하는데 박차를 가하고 있다.
다만, 4분기에는 주요 OEM(주문자 상표 부착 생산기)의 재고 조정에 따른 물량 감소, 주요 금속가격 하락 등으로 유의미한 매출 증가 및 수익성 개선은 어려울 것으로 예상된다.
LG에너지솔루션은 글로벌 생산능력 운용 최적화와 시설투자 효율화를 목표로 투자가 집중되는 북미지역 신규 증설을 축소할 방침이다. 2025년에는 필수 불가결한 투자를 제외한 설비투자 집행이 상당 폭 줄어들 것으로 전망된다.
김동명 LG에너지솔루션 최고경영자(CEO)는 “급격한 대외환경 변화가 예상되나 변화에 민첩하게 대응하고 가치를 높여 글로벌 배터리 시장 선도기업으로 우뚝 설 것”이라고 강조했다. (윤우성 선임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