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 자동차용 국내수요 예상밖 보합세!
2001년 ABS(Acrylionitrile Butadiene Styrene) 시장은 자동차 생산 증가에도 불구하고 자동차 용 수요는 보합세를 나타냈다. 2001년 자동차 시장은 예상과 달리 미국수출 호조에 힘입어 생산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국내 자동차 메이커들의 미국 시장점유율도 급격하게 상승곡선을 그리고 있다. 그러나 자동차용 ABS 수요는 2000년과 비슷한 수준을 보였는데 재질변경이 주원인으로 분석된 다. 최근 자동차부품 원료로 복합PP가 각광을 받으면서 여타 ABS나 엔지니어링 플래스틱의 채 용률이 예상보다 더딘 양상을 보이고 있다. 자동차 재질의 복합PP 변경은 일단 PP(Polypropylene) 가격이 엔지니어링 플래스틱이나 ABS에 비해 저렴하다는 것이다. 11월 현재 PP 국내판매 가격은 70만원 내외로 형성돼 있으나 ABS는 PP보다 2배 이상 비싼 150 만원 정도에 거래되고 있다. 물론 엔지니어링 플래스틱은 이보다 훨씬 높은 가격에 거래되고 있다. 또 PP를 이용한 복합소재 개발에 주력한 것도 원인으로 꼽힌다. 2001년 ABS 시장은 Y2K 특수가 사라지고 IT 산업의 침체로 난연 ABS를 채용하고 있는 모니터 가동률이 60%대에 머물러 OA용 수요는 20% 이상 감소할 것으로 추정된다. 또 인건비 절감을 위 해 플랜트의 해외이전도 수요감소를 부추기는 꼴이 되었다. 다만, 반도체 가격 하락으로 전통적인 백색가전 제품 수출에 주력해 수요 감소분을 일정부분 보충할 수 있었고 9.11 미국테러 영향으로 가수요가 발생해 전체적으로는 7% 정도의 수요감소 가 예상된다. 11월 ABS 국내가격은 톤당 150만원 전후에 거래되었고 매월 하락세를 보이고 있다. 수출가격도 톤당 700달러대로 하락한 상황이다. 특히, 원료인 SM(Styrene Monomer) 가격 하락폭이 2000년보다 더 커 수익성에 문제가 되고 있 는 것으로 나타났다. <화학저널 석유화학 담당 박호연 기자> <Chemical Daily News 2001/12/27> |
한줄의견
관련뉴스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에너지정책] ABS, 인디아 약세 보이며 “하락” | 2025-10-14 | ||
[석유화학] ABS, 중국산 물량 동남아로 간다! | 2025-09-23 | ||
[석유화학] ABS, 1300달러 결국 붕괴됐다! | 2025-09-09 | ||
[자동차소재] 타이어, 전기자동차용 개발 주력 | 2025-09-02 | ||
[석유화학] ABS, 1300달러 턱걸이 했다! | 2025-08-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