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개국 연구팀, 침팬지 게놈지도 첫 구축
한국과 미국, 일본 등 6개국 공동 연구팀이 세계 처음으로 침팬지의 게놈지도(유전체지도) 구 축에 성공했다. 한국생명공학연구원 박홍석 박사팀은 7만7461개의 침팬지 BAC(박테리아인조염색체) 클론의 말 단 염기서열을 결정하고 이를 인간의 게놈정보와 비교분석하는 방법으로 침팬지의 게놈지도를 구축했다고 1월3일 밝혔다. 연구결과는 미국의 저명 과학저널인 `사이언스'지 1월4일자(현지시각)에 실릴 예정이다. 침팬지 게놈 연구는 한국의 생명공학연구원과 일본(이화학연구소), 독일(막스플랑크연구소), 중국(상하이게놈연구소), 타이완(양밍대학), 미국(오클랜드연구소) 등 6개국 연구진이 2001년 3월 공동으로 구축한 `침팬지 유전체연구 국제컨소시엄'에 의해 이뤄졌다. 연구진은 침팬지 염기서열을 인간 게놈에 비교한 결과 98.77%가 같았으며 이 가운데 이미 완전 해독된 인간의 21번 염색체에 대비해서는 침팬지를 비롯한 영장류와 인간에게 몇개의 특이한 영역이 존재하는 것으로 추정됐다고 설명했다. 이에 따라 침팬지의 전체 게놈중 인간과 확연한 차이를 보이는 영역은 약 0.8% 수준인 것으로 추정했다. 또 침팬지 연구를 통해 인간의 진화과정에 중요한 요소인 유전자의 전이(translocation)와 결 실(deletion), 증폭(duplication) 등을 새롭게 규명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했다. 박홍석 박사는 "게놈의 구조가 인간과 98%이상 동일하면서도 형태적인 차이는 물론 지식이나 감성 등 뇌의 활동에 있어서 확연한 차이를 나타내는 침팬지의 게놈 연구는 인간의 뇌기능 연 구에 필수적인 정보이며, 유전체지도 구축은 침팬지 게놈의 해독을 위한 필수적인 발판을 구축 하였다는 점에서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고 주장했다. <Chemical Daily News 2002/01/04> |
한줄의견
관련뉴스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환경] 기후변화 6개국 회의 7월 일본 개최 | 2007-07-18 | ||
[기술/특허] 화학연구원 연구팀, 미국 화학회 최우수논문상 수상 | 2001-06-27 | ||
[제약] 원자력병원 연구팀, 간암 치료법 신개발 | 2001-03-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