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친화 신농약 후보물질 개발
화학연구원과 경농이 기존의 살균제 보다 효과가 뛰어나며, 광범위한 작물병해에 대해 탁월한 약효를 가진 새로운 구조의 살균제 후보물질(KSF-1002)을 국내 최초로 합성하는데 성공했다. 한국화학연구원(원장 김충섭) 생물화학연구부장 김범태 박사팀은 경농(대표 이병만) 중앙연구소장 유용만 박사팀과 공동으로 1999년부터 2001년까지 3년간 총 4억5500만원을 투입, 과학기술부 기본연구사업인 특이적 호흡저해 식물병 치료 후보물질 개발연구를 수행한 결과이다. 한국화학연구원은 후보물질을 경농에 기술실시 계약하고 관련특허의 전용 실시권을 양도했다 개발한 살균제 후보물질(KSF-1002)은 버섯에서 추출된 천연물질에서 화학구조식을 발견해 이를 근거로 화합물을 합성함으로써 인체에는 독성이 낮고, 환경친화적이며 환경생태계에 안전한 살균제로 과수류, 채소류, 곡류 등 광범위한 작물의 주요 병해에 대해 예방 및 치료효과가 있어 우수한 신규농약으로 기대된다. 또 새로운 작용기작을 가지고 있어 기존 살균제들이 지니고 있는 저항성(내성) 문제를 일시에 해결할 수 있으며, 독성시험 결과 인체에도 안전한 신규 살균제로서 국내 농약의 수입대체효과 및 해외로 원제수출도 상당히 기대된다. 살균제 후보물질(KSF-1002)은 in vitro, in vivo에서의 활성 뿐만 아니라 실제 비닐하우스 및 포장시험 결과 오이, 딸기, 장미의 흰가루병, 사과 겹무늬썩음병, 사과 탄저병, 사과 갈색무늬병, 감귤 더뎅이병, 배 붉은별무늬병, 고추 탄저병, 벼 도열병 및 잎집무늬마름병 등의 거의 모든 작물에서 우수한 효과를 나타냈다. 경농은 살균제 후보물질(KSF-1002)을 2002년 말까지 농약등록시험의 진입 및 세계적인 독성시험전문기관인 영국의 헌팅던(Huntingdon)에 독성시험을 의뢰해 2006년까지는 상업화할 예정이며, 개발한 살균제 후보물질(KSF-1002)이 상품화되면 국내시장은 약 150억원, 세계시장은 최소한 약 7000억원(5억달러) 이상의 매출을 기대하고 있다. 국내 농약시장은 2001년 현재 1조2000억원으로 살균제가 4500억원에 이르고 있다. 그러나 농약원제의 70% 이상을 수입에 의존하고 있으며 살균제는 약 1억달러를 외국에서 수입하고 있는 실정이다. 30%의 국산화 원제 역시 특허가 만료된 농약원제의 복제 수준을 벗어나지 못하고 있으며, 최근 저임금을 앞세운 중국에 의해 상당부분 잠식되고 있다. 반면, 살균제 후보물질(KSF-1002)은 세계적으로 가장 활발하게 개발중인 살균제 분야로 1999년 상품화에 성공한 2종의 약제가 이미 6억달러의 매출을 기록하고 있으며, 매년 10%이상 매출성장을 예상하고 있어 향후 세계시장이 약 50억달러에 이를 것으로 예측하고 있기 때문에 거의 모든 농약회사에서 개발을 진행중이다. 또 국내에도 외국에서 개발된 유사한 계통의 약제가 외국으로부터 도입돼 2001년까지 3종의 약제가 이미 판매되고 있다. 그래프,도표:<그림:사과탄저병 증상><KSF-1002를 살포하지 않은 오이 잎(흰가루병이 심하게 진행)><KSF-1002가 처리된 사과(병 방제효과가 우수함)><KSF-1002 처리 살포 5일 후(치료효과로 흰가루병이 없어짐)><국내 살균제 개발의 변천도> <Chemical Daily News 2002/01/30> |
한줄의견
관련뉴스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페인트/잉크] 환경부, 환경친화형 도료 사용협약 | 2011-07-14 | ||
[산업정책] 환경친화기업, 녹색기업으로 명칭 변경 | 2010-04-15 | ||
[화학경영] Clariant, 환경친화 유화제 개발 | 2009-04-21 | ||
[페인트/잉크] 환경친화형 도료 사용여부 점검 | 2008-03-27 | ||
[기술/특허] 환경친화기술센터 원주에 설립 | 2007-09-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