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내 제조업의 기술이 세계 최고의 80% 수준에 머물고 있는 가운데 중국에 비해서는 5년 정도 앞선 것으로 나타났다. 화학분야의 기술수준도 세계 최고의 81%에 올라 있는 것으로 평가됐다. 산업자원부와 산업연구원이 2002년 9월 국내 5007개 제조기업을 대상으로 좥2002 제조업 기술개발 현황조사좦를 벌인 결과, 국내 제조업의 기술은 세계 최고의 80% 수준인 것으로 파악됐다. 81-90% 수준이라는 곳이 30%, 91-99%가 25%, 61-80% 수준이 16%, 41-60% 수준이 15%로 나타났고, 최고 수준인 100%도 12%에 달했다. 세계 최고대비 수준은 전자(85%)와 반도체(83%)의 수준이 높았고 자동차(75%), 기계(79%) 등은 상대적으로 낮았다. 또 화학(81%), 섬유의류(81%), 조선(80%) 등은 제조업 평균 수준이었다. 표, 그래프 | 연구개발투자의 매출액 대비 비율 | 전체 종업원 중 연구개발인력 비율 | 신기술과의 융합추진 여부 및 추진분야 | 세계 최고기술 대비 기술수준 | 연구개발 수행비율 | 전체 종업원 중 R&D인력 비율 | 중국과의 기술격차 | 매출액 중 R&D 투자 비율 | 전체 R&D 중 자체개발 비율 | 신기술 융합 추진비율 | 품질관리 수행비율 | 해외협력 성과 | 제조업의 기술개발현황 조사결과 | 해외협력 실행비율 | R&D 예산 비교(2001) | 메이저 화학기업의 R&D투자 비교 | <화학저널 2002/12/23> |
한줄의견
관련뉴스
|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 [백송칼럼] 한국 화학산업의 과제 | 2025-07-11 | ||
| [백송칼럼] 화학산업의 3대 과제 | 2022-12-23 | ||
| [백송칼럼] 화학산업의 미래 “바이오” | 2022-10-28 | ||
| [석유화학] 일본 석유화학산업의 딜레마, 끝없는 구조개혁 피로감에도 탄소중립 목표 달성 서두른다! | 2022-03-11 | ||
| [백송칼럼] 탄소중립과 화학산업의 미래 | 2022-01-07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