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매환자는 여성 호르몬 먹어라!
|
여성호르몬제가 기존 치매치료제에 비해 알츠하이머병에 효과가 크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성균관대 의대 삼성서울병원 윤병구·김도관·나덕렬 교수팀이 초·중기의 여성 알츠하이머병 환자 55명을 치매전문 치료제 투약그룹(26명)과 여성호르몬제 투약그룹(29명)으로 나눠 6개월 동안 치료경과를 비교한 결과, 여성호르몬제를 투약한 그룹의 치료효과가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치매전문치료제는 알츠하이머병 치료제로 처음 FDA공인을 받은 <타크린(Tacrine)>이 사용됐으며, 여성호르몬제는 난포호르몬과 황체호르몬이 함께 투약됐다. 윤병구 교수님의 연구결과는 미국의 생식·불임의학계 권위지 <Fertility and Sterility> 2003년 2월호에 실릴 예정이다. 환자들을 대상으로 투약한지 6개월 뒤 시장보기, 교통수단이용, 집안 일 등 일상생활 기능의 악화 정도를 수치화 한 결과, 치매전문약 치료그룹은 투약 전 2.8점에서 2.4점으로 치매의 악화 정도가 심해졌으나 호르몬제를 투약한 그룹은 2.4점에서 2.3점으로 떨어지는데 그쳤다. 또 시간개념, 장소기억력, 계산력 등을 평가하는 인지기능에서는 <타크린> 치료그룹과 여성호르몬 치료그룹 모두 치매 진행이 크게 억제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성 호르몬제는 그동안 여성 갱년기장애 치료제로 널리 사용돼 왔으나, 2002년 7월 미국 국립보건원(NIH)에서 난포호르몬과 황체호르몬의 복합요법을 장기간 사용하면 유방암 발병 가능성을 높일 수 있다는 내용을 발표하면서 최근 사용이 주춤한 상태이다. 이번 연구결과는 여성호르몬 요법이 치매치료에 효과를 줄 수 있다는 사실을 입증한 데 큰 의미가 있으며, 특히 한국 여성을 대상으로 난포호르몬과 황체호르몬의 치료효과를 입증함으로써 국내 치매치료에 새로운 전기가 마련될 것으로 기대된다. <Chemical Daily News 2003/01/14> |
한줄의견
관련뉴스
|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 [인사/행사] 삼성SDI, 최연소 여성 부사장 발탁 | 2022-12-06 | ||
| [화학경영] LG화학, 여성 사외이사 신규 선임 | 2022-02-23 | ||
| [화학경영] 석유·화학, 여성인력 비중 5.4% | 2020-03-11 | ||
| [화학경영] 바스프, 여성 관리직 30%로 확대 | 2020-02-26 | ||
| [인사/행사] LG생활건강, 여성임원이 경영 좌우 | 2019-11-29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