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Chemical 시장은 전방산업인 자동차, 철강, 섬유 산업이 2002년 5-10% 성장했지만 2003년에는 5%이내 성장에 그칠 것으로 보여 성장률이 낮아질 것으로 전망된다. 자동차, 조선 등은 국내수요 둔화 및 공급여력의 한계로 낮은 생산증가를 보이고, 철강은 수입규제의 지속에 따른 수출정체, 건설용 내수의 위축 등으로 2003년 생산이 2002년 수준에 머무를 전망이다. 섬유산업은 생산증가에도 불구하고 의류생산 감소로 2002년 수준을 소폭 상회할 전망이다. 2002년 상반기 건설투자는 부동산 가격 상승, 경기회복에 대한 기대감, 그리고 저금리 및 가계대출 증가 등 풍부한 유동성을 바탕으로 주거용 건물과 상업용 건물에 대한 투자가 증가해 경제성장률보다 높은 6.7%의 성장률을 기록했다. 하지만, 하반기 들어 건설투자에 유리하게 작용했던 거시경제적 요인들의 효과가 약화되었으며 건설경기를 주도했던 주택건설의 증가세가 둔화돼 5%대에 그쳤다. 2002년 하반기에 주택경기에 크게 기여했던 다세대주택 건설이 주차장 규제가 강화된다는 점과 부동산투기 억제정책, 재건축 아파트 용적률 하향 조정 등 정부가 재개발 억제정책을 추진했기 때문이다. 2003년 건설경기는 2002년 하반기의 둔화세가 이어져 5%대의 낮은 증가세를 기록할 전망이다. 외환위기 이후 건설경기와 금리간에 부(負)의 관계가 나타나고 있는 가운데 2003년 금리가 상승추세를 보이면 건설투자의 둔화 폭은 더 커질 것으로 예상된다. 다만, 2002년 하반기 이후 건설수주, 건축허가면적 등 건설경기 선행지표들의 둔화세가 2003년까지 지속되더라도 이미 확보된 건설수주물량을 감안한다면 2003년 건설투자는 5% 이내의 성장세를 유지할 것으로 예상된다. 표, 그래프 | 국내수요 전망 | 수요산업의 수출전망 | Chemical 수출입실적 | 페인트 시장동향 | 안료 수출입실적 | 염료 수입실적 | 염료 수출실적 | 분산염료 수출실적 | 분산염료 수입실적 | 반응성염료 수출실적 | 반응성염료 수입실적 | 계면활성제 수급동향 | 실란트 수요구성비 | <화학저널 2003/2/3> |
한줄의견
관련뉴스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엔지니어링] 화학산업, 자동화로 현장 혁신하라! | 2025-10-17 | ||
[정밀화학] 바스프, 지속가능한 화학산업 선도 | 2025-10-02 | ||
[금속화학/실리콘] 화학산업, 안티몬 공급불안 “긴장” | 2025-10-02 |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화학경영] 유럽 화학산업 ③, 스페셜티 중심 전환으로 글로벌 리더십 회복한다! | 2025-10-17 | ||
[산업정책] 유럽 화학산업 ② , 전열화·CCS·탄소중립으로 지속가능 화학산업 구축한다! | 2025-10-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