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도체, 무선통신·게임산업 주목
|
시장성장 이끌 혁신기술 없어 … 성숙기 진입으로 R&D투자 저조 반도체 시장은 몇년 동안 약세를 벗어나지 못했으나 반등의 기회가 엿보이고 있다.그러나 전세를 역전할 만한 이른바 킬러앱(Killer Application)과 같은 결정적인 계기가 절실한 상황이다. 성장세 회복국면 및 차세대 기술 개발 등 문제는 반도체 생산기업 뿐만 아니라 전자소재 및 화학제품 생산기업들이 직면하고 있는 최우선 과제로 떠오르고 있다. 반도체 시장은 2000년 피크점에 도달한 이후 다시 정상을 회복하기 위한 발걸음을 재촉하고 있다. 세계 반도체 시장은 1999년 1490억달러에서 2000년 2040억달러로 성장했으나 2001년 후퇴하기 시작해 1390억달러에 머물렀다. 그러나 2002년 1410억달러로 건실한 회복세를 나타냈다. SEMI(Semiconductor Equipment & Materials International)는 반도체 시장이 2002년 성장세로 전환된 것으로 평가하고 있다. August Technology는 반도체 시장이 현재 건실하면서도 지속적인 회복을 위한 초기단계에 진입했다고 평가했다. 그러나 하나의 대규모 제품이 아닌 다양한 제품으로 응용될 수 있는 킬러앱의 등장에 대한 전망은 미지수이다. 표, 그래프 | 반도체 장치 시장비중(2002) | 반도체기업의 매출액 | <화학저널 2003/11/10> |
한줄의견
관련뉴스
|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 [반도체소재] 반도체, 차세대 패키지 경쟁 심화 | 2025-10-16 | ||
| [기술/특허] SK, 반도체·화학특허 중소·중견기업 무상 이전 | 2025-10-14 | ||
| [환경화학] 초순수, 반도체용 국산화 “헛방” | 2025-09-29 | ||
| [에너지정책] LG화학, AI 반도체 공략 “본격화” | 2025-09-29 |
|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 [반도체소재] TOK, 첨단 반도체 소재 생산 확대 | 2025-10-17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