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학산업도 미래전략이 필요하다!
화학산업의 경쟁이 갈수록 심화되고 범용소재는 1990년대 이후 급격한 생산능력 확대에 따라 공급과잉이 심화돼 수익성이 악화되고 있다는 것은 주지의 사실이다. 특히, 최근 들어서는 석유화학 뿐만 아니라 정밀화학으로 일컬어지는 Chemicals, Fine Chemicals, Specialty Chemicals 등 고부가가치 화학제품도 가격경쟁이 심화돼 수익성이 나빠지고 있다. 화학제품의 범용화는 국제적으로 시장이 일정부분 성숙되었기 때문으로 기존의 틀에서는 수익성이나 성장성의 한계가 나타날 수밖에 없는 상태이다. 즉, 새로운 기술력을 확보하고 또 새로운 사업영역을 개척해야 할 필요성이 절실해지고 있는 것이다. 21세기 들어 본격화되고 있는 BT(Biotechnology), NT(Nano-technology)가 그렇고 여기에 IT(Information Technology)까지 가세하고 있다. 미국이나 유럽의 선진 화학기업들이 새로운 환경변화에 대응해 화학제품 생산에 새로운 기술을 적용하고 있음은 잘 알려져 있다. 연구개발(R&D) 투자를 확대해 기술개발능력을 제고하고 서비스를 개혁해 부가가치를 창출함으로써 전통적인 대량판매에 따른 한계를 넘어서고 있는 것이다. 반면, 국내 화학기업들은 새로운 환경변화에 적응하지 못하고 갈수록 뒤쳐지고 있어 화학산업에 의지하는 많은 종사자들과 관련산업 관계자들을 안타깝게 하고 있다. 경영자들의 의식도 문제이려니와 R&D투자가 매출액의 2% 안팎에 그치고 있어 선진국의 7-8%와 비교가 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다국적 제약기업의 10-15%와는 비교하는 의미가 없을 정도이다. 대표적인 부문이 염료이다. 한국은 1970년대 중반부터 1990년대 중반까지 세계적인 섬유강국으로 이름을 날렸을 정도로 자타가 공인하는 화학섬유 생산대국이었으니 염료산업이 발전할 토대는 충분히 마련돼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현재는 선진국의 고부가가치제품에 뒤쳐지고 중국 및 인디아의 저가공세에 내몰리는 샌드위치 신세타령을 넘어 존재감마저 상실해가고 있다. 근본원인은 여러 가지가 있겠으나 가장 큰 문제는 바로 |
한줄의견
관련뉴스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산업정책] 아르헨티나, 경제위기에 화학산업도 | 2014-04-18 |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에너지정책] SMR, 탈탄소 에너지로 급부상 화학산업도 활용 추진한다! | 2024-06-28 | ||
[기술/특허] 스마트그리드, 화학산업도 스마트그리드로 날개단다! | 2011-03-18 | ||
[백송칼럼] 화학산업도 상호협력이 대세 | 2010-06-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