석유화학, 4/4분기 체감경기 악화
|
전경련, 채산성 부진으로 가동률 하향조정 … 고유가로 수익성 하락 2006년 4/4분기 석유화학산업의 채산성 회복을 기대하기가 어려운 것으로 나타났다.전경련이 발표한 <2006년 3/4분기 산업동향 및 4/4분기 전망> 보고서에 따르면, 조선ㆍ철강ㆍ기계ㆍ공작기계 등 4개 산업은 4/4분기에 전년동기대비 종합경기가 호전되나, 자동차ㆍ타이어ㆍ전자ㆍ건설ㆍ석유ㆍ전기ㆍ섬유 등 7개 산업은 2005년 수준을, 석유화학ㆍ시멘트ㆍ전력ㆍ유통 등 4개 산업은 악화될 것으로 전망했다.
자동차ㆍ전자ㆍ기계ㆍ공작기계ㆍ석유화학ㆍㆍ전기 등 6개 산업의 생산은 2006 3/4분기에 비해 4/4분기에 증감률이 확대될 것으로 보이나, 나머지 산업은 감소할 전망이다. 내수는 3/4분기에는 타이어ㆍ전자ㆍ석유화학ㆍ섬유 등 4개 산업에서 감소했으나 4/4분기에는 타이어ㆍ전자ㆍ시멘트ㆍ석유ㆍ섬유 등 5개 산업에서 감소할 전망이다. 섬유는 경기침체로 인한 소비심리 악화로 의류매출이 감소해 3/4분기에 이어 감소세를 이어갈 전망이다. 조선ㆍ기계ㆍ공작기계ㆍ석유ㆍ전기 등은 2006년 3/4분기에 이어 4/4분기에도 높은 수출증가율을 보일 전망이며, 시멘트ㆍ섬유 등은 3/4분기에 이어 4/4분기에도 감소할 전망이다. 석유는 고부가가치 제품생산능력 증가에 따른 수출여력 증가와 계절적 성수기에 따른 일본 등유수출 기대 등으로 전년동기대비 35.0%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3/4분기에는 타이어ㆍ전자ㆍ철강ㆍ기계ㆍ공작기계ㆍ석유ㆍ전기ㆍ섬유 등 8개 산업에서 2자리대의 수입증가율을 보였으며, 4/4분기에는 기계ㆍ석유ㆍ전기 등의 산업에서 높은 수입 증가율을 보일 것으로 예상된다. 계절적 성수기로 진입하고 석유화학용 나프타 수요의 회복이 기대되나, 내수소비 감소에 따른 석유제품 소비 감소와 국제석유제품 가격 상승에 따른 수입제품 경쟁력 약화로 증가폭은 둔화될 것으로 예상된다. 석유화학산업의 2006년 3/4분기 내수는 가전업계의 생산설비 해외 이전으로 인한 PS(Polystyrene) 수요부진, 건설산업의 부진으로 인한 EPS(Expandable PS) 수요부진, 화섬산업의 부진으로 인한 TPA(Terephthalic Acid), DMT(Dimethyl Terephthalate), AN(Acrylonitrile) 수요 부진 등으로 인해 전년동기대비 4.2% 감소했다. 기초유분 등 기초 원자재 가격은 지속적으로 상승했으나, 계열 제품은 가격전가에 한계를 보이고, PP(Polypropylene)나 PS 등의 일부제품은 채산성이 악화됐다. 2006년 4/4분기 생산은 석유화학 경기 사이클이 상ㆍ하향 안정세로 진입함에 따른 채산성 부진으로 가동률 하향 조정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수출은 중국의 대규모 신증설 프로젝트가 마무리됨에 따라 역내 공급물량이 급증할 것으로 전망되며, 고유가 장기화에 따른 원가부담과 맞물려 석유화학제품의 추가적인 수익성 하락 요인으로 작용할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표, 그래프: | 주요 산업의 3/4분기 산업동향 및 4/4분기 전망(2006) | <화학저널 2006/09/25> |
||||||||||||||||
한줄의견
관련뉴스
|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 [무기화학/CA] 염산, 석유화학 재편으로 공급 불안하다! | 2025-10-28 | ||
| [화학경영] 금호석유화학, 1분기만에 되살아났다! | 2025-10-27 | ||
| [반도체소재] 석유화학, 포토레지스트로 전환 | 2025-10-27 | ||
| [산업정책] 서산, 중소‧중견 석유화학기업 대출 지원 | 2025-10-27 | ||
| [화학무역] 석유화학, 수출제품 원료 관세 지원한다! | 2025-10-24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