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의 가공무역금지 피해 가시화
				
				
			| 
						 중소기업 59.7% 자재수급 애로 … 관세ㆍ증치세 어려움도 56.9% 중국의 가공무역금지품목 확대 등 잇단 무역정책 변동으로 중국 진출기업과 중국 수출입 중소기업들이 원자재 수급 등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중소기업중앙회가 중국 현지에 진출했거나 국내에 있는 중국 수출입 중소기업 65사를 대상으로 실시한 <중국 가공무역 금지품목 확대에 따른 중소기업 영향조사> 결과 59.7%가 <원자재 수급이 어렵다> 응답했다. 또 조사대상의 56.9%는 <관세 및 증치세(부가가치세)와 관련해서도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답했다. 가공무역 규제 확대가 수출입기업에 미칠 영향에 대해서는 36.7%가 <원가상승으로 인한 수익성 악화>를 꼽았으며 28.3%는 <원자재 조달 등 중국 내수 거래선 확보의 어려움>을 우려했다, 이밖에 응답기업의 23.3%는 <중국으로부터의 원부자재 수입단절>을 꼽았으며, 11.7%는 <중국수출 단절>까지 우려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응방안을 묻는 질문에는 39.7%가 <원자재를 현지조달하고 중국 내수시장을 노리겠다>고 답했으며, 23.5%는 <관세 및 증치세 혜택이 없더라도 일반무역으로 전환해 거래를 지속하겠다>고 답했다. 또 중국 진출규모를 축소하거나 베트남 등 제3국으로 투자를 전환하겠다고 답한 중소기업도 20.6%에 달했으며 5.9%는 중국사업을 철수하겠다고 답했다. 중소기업중앙회 관계자는 “최근 가공무역 금지품목 확대조치는 일회성이 아닌 중국의 새 정책기조로 자리잡을 것으로 판단되기 때문에 중국에 진출할 국내기업들은 단순가공 수출형에서 벗어나 중국 내수시장형 고부가가치 상품에 주력해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연합뉴스 - 무단전재ㆍ재배포 금지> <화학저널 2006/12/04>  | 
				
한줄의견
		
		관련뉴스
|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 [백송칼럼] 중국의 역습 | 2025-05-16 | ||
| [산업정책] 중국의 화학산업 혁신 ②, 불소화학에 화학설비까지… 탄소중립 흐름에도 대비한다! | 2025-05-16 | ||
| [에너지정책] 중국의 화학산업 혁신 ①, 그린 화학제품 생산 본격화 세계 최초 바이오제조 “성공” | 2025-05-02 | ||
| [바이오연료] 중국의 수소 투자, 그린수소 투자 확대 속도 2060년 870조원대 성장… | 2024-12-13 | ||
| [백송칼럼] 중국의 공급과잉 문제 | 2024-07-31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