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동차연료 품질향상 대기오염 저감
환경과학원, 2005년 총 2만500톤 감소 … 질소산화물 영향은 적어 국립환경과학원(원장 윤성규)은 2005년과 2006년의 자동차용 휘발유와 경유 약 5300여개의 연료품질을 분석해 자동차에 의한 대기오염물질 저감효과를 분석한 결과, 연료품질 강화로 거둘 수 있는 대기오염물질 저감효과가 최고 11.5%에 이를 수 있다고 발표했다.2004년 기준으로 자동차에서 배출되는 대기오염물질은 일산화탄소(CO)가 연간 1만6370톤, 총탄화수소 1621톤, 미세먼지 1168톤, 질소산화물 1341톤 등으로 총 2만500톤 감소시킨 것으로 추산됐다
경유의 황함량 기준은 2005년 430ppm 이하에서 2006년 30ppm 이하로 약 1/14 수준으로 강화돼 대기오염 저감은 물론 산성비 방지 등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보인다. 국립환경과학원은 2007년부터 시행되는 자동차연료 품질관리를 위해 연료 제조단계부터 사전검사를 수행함으로써 연료에 의한 대기오염 저감효과를 극대화시킬 계힉이다. 표, 그래프: | 연료 품질강화에 따른 대기오염물질 감소율(2005년 대비 2006년) | 주요 자동차 연료 성분분석 결과 | <화학저널 2007/02/09> |
한줄의견
관련뉴스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무기화학/CA] 염화칼슘, 중국산 품질향상 가속화 | 2016-09-22 | ||
[에너지정책] 석유관리원, 자동차연료 무상분석 | 2012-07-06 | ||
[석유정제] DME, 자동차연료 실용화 “성큼” | 2009-12-28 | ||
[석유정제] 국산 자동차연료 환경품질 세계최고 | 2009-07-24 | ||
[석유정제] 자동차연료 품질 “한국산이 최고” | 2009-02-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