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한약재 수은 오염 “심각”
|
과기원, 기준초과 약재 50%가 국산 … 29개는 잔류농약 검출 수입 한약재의 중금속 오염에 대한 우려가 이어지고 있는 가운데 수은 오염도는 국내산이 더 심각하다는 조사결과가 발표됐다.한국과학기술연구원 정진영 연구원이 2005-06년 <한약재 품질기준 확립 및 유해물질 모니터링ㆍ가용 섭취율 분석연구>에 따르면, 한약재 600개의 납, 카드뮴, 비소, 수은 농도를 모니터링한 결과, 수은 기준을 초과한 약재 13개 중 절반 정도인 6개가 국내산이었으며, 수은 농도가 가장 높은 약재 5개는 모두 국내산인 것으로 조사됐다. 연구팀은 한약재 1품목당 10개씩 총 600개 약재에 대해 납, 카드뮴, 비소, 수은 네 가지 중금속 농도를 측정한 결과, 전체의 15.5%인 69품목이 허용기준을 초과했다고 밝혔다. 특히, 수은은 부적합 약재 13개 가운데 절반 정도인 6개가 국내산이었고 수은 농도 상위 5개가 모두 국내산이었다. 그러나 4개 중금속 기준을 초과한 총 93개 약재 중 72개(77.4%)는 중국산으로, 중국산 한약재가 국내산에 비해 중금속에 더 많이 오염된 것으로 나타났다. 카드뮴 기준치를 초과한 69개 약재 중 78,3%인 54개의 원산지는 중국이었으며 납은 5ppm을 초과한 부적합 약재 10개중 9개가, 비소는 4개 전부가 중국산이었다. 카드뮴은 허용 한계치인 0.3ppm을 넘는 약재가 무려 69개로 전체 부적합 건수의 74.2%에 달할 만큼 다양한 약재들이 카드뮴에 오염된 것으로 조사됐다. 국내산과 수입산을 합쳐 4종류의 중금속이 모두 높은 농도로 검출된 약재는 당삼, 백출, 시호, 창출, 황련, 파극천, 오약, 위령선, 아출, 자소자 등 10종이었던 반면, 4종의 중금속 모두 기준치 이하로 비교적 오염이 덜한 약재는 갈근, 강활, 결명자, 길경, 맥문동, 석창포, 감초, 산약, 작약, 진피, 승마, 오가피, 연교, 연자육, 신이, 익지, 백자인, 해동피, 옥촉서예, 감국 현삼, 지실, 고삼, 청피, 포공영, 관동화, 대복피, 초과, 복분자 등 총 29종이었다. 연구팀은 국산 한약재의 수은 농도가 높은 것과 관련해 “수은은 국내 오염이 문제가 되는 것으로 판단된다”며 “한약재 재배과정에서 오염 여부와 포장, 약재 전처리 등 유통과정을 조사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한편, 중금속 모니터링과 별도로 410개 한약재에 대해 잔류농약을 분석한 결과, 29개 약재에서 농약이 검출됐으며 그 중 21건이 국내산이었다. <저작권자 연합뉴스 - 무단전재ㆍ재배포 금지> <화학저널 2007/07/31> |
한줄의견
관련뉴스
|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 [바이오연료] 현대오일, 국내 최초 암모니아 저장설비 건설 | 2025-10-22 | ||
| [농화학] 농약, 일본이 국내시장 “군침” | 2025-09-23 | ||
| [바이오연료] 현대오일뱅크, 국내 SAF 시장 진출 | 2025-09-22 | ||
| [신재생에너지] 한화큐셀, 국내 PPA 사업 확대 | 2025-07-16 |
|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 [바이오연료] SAF, 미국, 세제혜택 타고 성장 국내시장도 활성화 “기대” | 2025-07-25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