친환경화학, 원칙 넘어 현실로
환경보호 강화에 코스트 절감 요구로 … 에너지 절약형 부상 친환경 화학(Green Chemistry)이 고부가가치 사업으로 급부상하고 있다.세계경제 침체, 소비자의 인식 개선, 환경규제 강화에 따라 코스트를 절감하는 동시에 탄소 배출량을 감축할 수 있는 고효율·고수율·고기능성 친환경 화학제품이 주목받고 있다. 이에 따라 글로벌 메이저는 물론 중소 화학기업들까지 그린화학 12원칙에 따라 친환경 화학제품 개발에 적극 나서고 있다. 미국 화학협회의 GCI(Green Chemistry Institute) 산하 제약분과는 가장 많이 사용되는 화학제품 제조공법 및 솔벤트(Solvent) 각각 12개를 가려내 환경 친화적인 공법과 솔벤트로 전환하는 연구를 추진하고 있다. 또 세제류의 친환경화를 도모하기 위해 포뮬레이터(Formulator)협회를 설립하고, 박사학위를 취득한 우수 인재를 대상으로 교육을 실시하며, 다양한 친환경 공법에 적용할 수 있는 인증기준인 ANSI(American National Standards Institute)를 개발하고 있다. 표, 그래프 | 그린화학 12가지 원칙 | <화학저널 2009/4/20> |
한줄의견
관련뉴스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에너지정책] 환경부담금, 수익자 부담이 원칙 | 2015-07-06 | ||
[환경] 환경협약, 만장일치 원칙 “비합리적” | 2013-10-11 | ||
[화학경영] 금호그룹 구조조정 원칙대로 추진 | 2010-01-22 |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백송칼럼] 석유화학 구조조정의 원칙 | 2024-11-29 | ||
[첨가제] PVC가소제, 사용규제, 원칙인가? 감정인가? | 2013-07-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