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DM, 동남아에 투자하라!
|
필리핀ㆍ인도네시아ㆍ말레이 A등급 … 싱가폴ㆍ미얀마는 최저 동남아시아가 CDM 시장의 허브로 떠오르고 있다.KOTRA는 4월22일 <동남아 CDM 시장현황과 기회> 보고서에서 CDM사업 활성화 정도, 자연조건, 정부 인식 및 지원 정도를 반영해 필리핀, 인도네시아, 말레이지아를 유망 시장으로 선정했다. 필리핀, 인도네시아, 말레이는 가장 높은 A등급을 받았으며, 베트남, 태국, 캄보디아가 B등급, 싱가폴과 미얀마눈 최저 등급인 C에 그쳤다. 필리핀은 풍력, 수력, 지열, 도시폐기물, 바이오매스 산업 분야가 유망하며, 인도네시아는 조림사업, 청정석탄, 고효율 재생에너지 분야가 유망한 것으로 조사됐다. 말레이는 세계 최대의 팜유 생산국에 걸맞게 팜 껍데기를 이용한 바이오매스 사업이 유망분야로 추천됐다. 가장 낮은 평가를 받은 싱가폴은 좁은 면적 탓에 대체에너지 개발보다는 에너지 효율화와 탄소시장의 허브가 되려는 계획을 세운 것으로 나타났고, 미얀마는 CDM 사업을 위한 자연조건이 뛰어나기 때문에 장기적으로 사업을 추진해야 한다고 추천했다. 2009년 3월 UN(국제연합)에 등록이 완료됐거나 진행 중인 CDM 프로젝트는 4541건 가운데 동남아에서 진행되는 프로젝트는 491건으로 전체의 10.8%를 차지했다. KOTRA 김세명 팀장은 “2012년 교토체제 이후 한국이 온실가스 감축 의무국에 지정될 가능성이 크다”며 “CDM 프로젝트를 통해 탄소 배출권을 미리 확보하는 것이 시급하며, 동남아 국가별 유망분야에 집중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연합뉴스 - 무단전재ㆍ재배포 금지> <화학저널 2009/04/22> |
한줄의견
관련뉴스
|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 [화학경영] 화학기업, 바이오 CDMO 체질 개선 | 2025-11-10 |
|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 [제약] CDMO, 의약에서 기능성 소재로 확장 | 2025-11-14 | ||
| [제약] CDMO, 중국이 미국 견제 무력화하고 있다! | 2025-10-31 | ||
| [제약] CDMO, 저분자용 카복실산 개발 | 2025-10-17 | ||
| [제약] CDMO, 중국이 아시아·유럽 선회… | 2025-09-19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