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리카화이트, 중국 시장 “빈수레”
기술력ㆍ생산규모에서 글로벌기업에 밀려 … 고급 혐수성은 전량수입 중국의 가스계 실리카 화이트(Silica White) 시장에 적신호가 켜졌다.최근 선진국들의 환경규제 강화에 따라 글로벌기업들이 가스계 실리카 화이트 제조코스트가 낮고 환경규제가 상대적으로 약한 중국으로 플랜트를 대거 이전함으로써 가스계 실리카 화이트 신증설이 봇물을 이루고 있기 때문이다. 중국의 가스계 실리카 화이트 생산능력은 2008년 2만톤, 생산량은 1만5400톤에 달했으나 글로벌기업이나 합작기업의 생산능력이 1만5000톤, 생산량이 1만2000톤인 반면, 중국기업의 생산능력은 5000톤, 생산량은 3400톤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글로벌기업들은 중국에서 g당 200㎡대의 저급 그레이드 가스계 실리카 화이트를 제조하는 반면, 본국에서는 200㎡ 이상의 고급 그레이드를 제조해 일부는 내수시장에 공급하고 일부는 수출하고 있다. 중국 메이저 중에서는 Shenyang Chemical만이 200㎡이상의 고급 그레이드를 제조해 내수 공급 및 수출하고 다른 가스계 실리카 화이트 생산기업들은 대부분 100-200㎡의 저급 그레이드를 소량 생산하고 있는 상태에서 글로벌기업들이 중국에서 신증설에 박차를 가하고 있어 경쟁이 심화되고 있다. 더욱이 일부 글로벌기업들은 저가 전략으로 내수시장을 공략하고 있어 경쟁력이 떨어지는 중국 중소기업들은 사업을 철수할 수밖에 없는 처지로 내몰리고 있다. 친수성 가스계 실리카 화이트는 국제가격이 내수가격보다 1.5배 높지만 중국에서 활동하고 있는 글로벌기업들은 내수가격과 비슷한 가격에 공급하고 있고, 혐수성 가스계 실리카 화이트는 선진국들이 독점 생산하고 있어 국제가격과 내수가격이 비슷한 수준을 형성하고 있다. 중국기업들은 폴리실리콘(Polysilicone) 제조과정에서 부생되는 Silicon Tetrachloride를 원료로 실리카 화이트를 제조하고 있는데 최근 광전자(Photoelectric), 전자, 전자기계 부문의 발전에 힘입어 폴리실리콘 생산량이 확대되면서 Silicon Tetrachloride 부생량도 급증하고 있다. 이에 따라 중국산 실리카 화이트는 제조코스트가 낮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으나 글로벌기업들이 가동하는 플랜트는 생산능력이 2000톤을 상회하는 반면, 중국기업들은 Shenyang Chemical의 1000톤 플랜트를 제외하고는 대부분 생산능력이 1000톤을 하회하는 중소 플랜트로 코스트 효율성이 낮고, 공법, 부대시설, 원료 처리 기술력이 모두 선진국 수준에 미치지 못함은 물론 자동화 수준마저 떨어져 국제 경쟁력 제고가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중국의 가스계 실리카 화이트 수요는 2008년 3만톤으로 수입량이 1만4000톤으로 전체의 46.7%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혐수성 가스계 실리카 화이트가 친수성보다 고급 그레이드로 응용범위가 넓어 수요가 1만2000톤에 달하나 중국은 생산량이 전무해 전량 수입에 의존하고 있다. 다만, Shenyang Chemical이 2008년 혐수성 가스계 실리카 화이트 개발에 성공해 파일럿 테스트를 시작한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중국은 독일에서 40%, 미국에서 30%, 일본에서 20%, 우크라이나 등 기타 10% 수입하고 있다. <화학저널 2009/08/27> |
한줄의견
관련뉴스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폴리머] 컴파운드, 중국이 글로벌 장악한다! | 2025-10-22 | ||
[배터리] 음극재, 중국이 글로벌 시장 평정했다! | 2025-10-21 | ||
[석유화학] LDPE, 재고·전망·중국 변수에 하락 가속화 | 2025-10-20 | ||
[국제유가] 국제유가, 미국-중국 무역갈등에 62달러 아래로… | 2025-10-16 |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플래스틱] 플래스틱 수출, 중국 중심 예측된 “지각변동” 한국, 직격탄 맞고 휘청거린다! | 2025-10-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