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가격경쟁력 취약하나 다시… 반응성염료는 염료 중 수요가 가장 많고 분산염료나 산 염료와는 다르게 내수 시장을 국내기업들이 장악하고 있다.그럼에도 불구하고 2000년대 중반까지 가격 경쟁력을 갖춘 중국과 인디아 수입제품에 쫓기고 DyStar, ICI, Sumitomo Chemical 등 염료 메이저들에게 밀리면서 일부를 제외하고는 사업을 포기하거나 반응성염료 생산을 포기하는 사례가 속출했고 치열한 가격경쟁 끝에 구조조정이 일어나 많은 영세기업들이 채산성 악화로 문을 닫았다. 2008년에는 베이징(Beijing) 올림픽의 환경규제 영향으로 중국기업들의 생산량이 줄었고, 설상가상으로 하반기에 불어닥친 경기침체의 영향으로 중국·인디아기업들도 상당수 반응성염료 사업을 포기했으며, 세계 메이저들은 수요감소와 함께 가격경쟁력을 상실하는 결과가 초래됐다. 하지만, 구조조정으로 수급타이트 현상이 심화됐고 동시에 염료 수요기업들이 다시 국산 반응성제품에 관심을 갖기 시작하면서 고부가제품 제조만 고집하던 메이저들의 가격 경쟁력이 약화돼 국내기업들이 한 단계 도약할 수 있는 발판을 마련하는 계기로 작용했다. 국내에는 한때 이화산업을 필두로 경인양행, 오영산업, DKC, 엠도흐멘코리아 등 수십 개의 반응성염료 생산기업들이 있었으나 현재는 경인양행, 오영산업, 동양화학, DKC, 제이케미칼, 태흥산업, 화인케미만이 명맥을 이어가고 있다. 국내 반응성염료의 본가라고 할 수 있는 이화산업은 국내 생산기반을 철수하고 중국기업과 협력 형태로 국내에 반응성염료를 공급하고 있으며, 나머지도 대부분 반응성염료 사업에서 철수하거나 수입 형태로 전환한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표, 그래프 | 반응성 염료 수입동향 | 반응성 염료 수입비중(2008) | 반응성 염료 수출동향 | 반응성 염료 수출비중(2008) | 염료 수요동향 | 염료 수출동향 | <화학저널 2010/1/18> |
한줄의견
관련뉴스
|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 [염료/안료] 반응성염료, 중국산 가격 하락세 | 2014-10-17 | ||
| [염료/안료] 경인양행, 반응성염료 16품목 출시 | 2003-03-05 |
|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 [염료/안료] 반응성염료 수출증가세 “주춤” | 2002-12-23 | ||
| [염료/안료] 반응성염료, 수출증가 “뚜렷” | 2001-09-24 | ||
| [염료/안료] 반응성염료, 수출로 만회하길… | 2000-11-13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