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용 수요마저 침체 “절망적” 일본 촉매 시장은 장기간 꾸준히 성장했으나 경기침체의 영향으로 2008년에 이어 2009년에도 침체가 지속됐다.정유·석유화학 플랜트의 가동률이 회복되면서 공업용 수요가 되살아나고 있지만 자동차 생산 회복이 지연되면서 수요증가를 견인해온 자동차 배기가스 정화용 촉매 수요가 급격히 감소했기 때문이다. 다만, 장기적으로는 환경보호에 대한 사회적 요구수준이 높아질 것으로 보여 촉매기술에 대한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자동차 배기가스 정화용 침체 일본의 촉매 생산량은 2007년 처음으로 11만톤을 넘어섰으며, 출하액도 5000억엔을 돌파했다. 2008년 들어서도 10월까지 호조를 구가함에 따라 세계적인 경기침체에도 불구하고 생산량은 11만8999톤으로 7.6%, 출하량은 11만3964톤으로 3.7% 증가했다. 출하액도 5440억5500만엔으로 8.2% 늘어나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다. 그러나 자동차 배기가스 정화용은 2008년 11월부터, 석유정제용을 포함한 공업용은 2009년 1월부터 수요가 급격히 침체되기 시작했다. 다만, 정유설비의 가동률이 서서히 회복됨에 따라 2009년 1-10월 석유정제용 생산량은 전년동기대비 0.4%, 출하량은 9.5% 증가했다. 석유화학제품용은 생산·출하 모두 2008년의 80% 수준에 그친 것으로 추정된다. 표, 그래프 | 일본의 촉매 출하비중(2008) | 일본의 촉매 출하액 비중(2008) | 일본의 촉매 생산 및 출하동향 | <화학저널 2010/4/26> |
한줄의견
관련뉴스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정밀화학] 에코프로, 허니컴 촉매 공장 건설 | 2025-09-08 | ||
[정밀화학] 광촉매, 친환경 용도 개척 본격화 | 2025-08-25 | ||
[에너지정책] 촉매, 화학산업 탈탄소 주도한다! | 2025-07-31 | ||
[정밀화학] AI, 수전해용 다원소 합금촉매 설계 | 2025-07-16 | ||
[정밀화학] 수소, 루테늄 촉매 경제성 “3배” | 2025-07-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