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백질소재 개발 신세계 열리나?
의약품 주도로 산업용 시장 확대 … 연구개발 수준 기대 이하 의약품 분야를 중심으로 단백질소재 시장이 확대되고 있다.과거에는 생물의약, 생물화학 등에 사용되는 단백질을 생체로부터 직접 분리해 사용했지만 최근에는 유전자재조합 기술로 미생물, 동식물 세포 등 다양한 숙주세포를 이용해 대량 생산하고 있다. 단백질소재는 생체내에 존재하며 모든 생명 현상의 최종단계를 결정하는 단백질 고유의 기능을 인위적으로 인체의약 및 다양한 바이오산업 분야에 활용할 수 있도록 만든 것으로, Genome 프로젝트 이후 대규모의 신기능·고부가 단백질들이 각광받고 있다. 국내에서는 WPM(세계시장 선점 10대 소재 개발사업)에 선정돼 정부 주도 아래 의약용 단백질소재를 중심으로 개발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세계적으로는 부가가치가 높은 생물의약품을 중심으로 소재 개발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으며 BASF, DSM 등 글로벌 화학메이저를 중심으로 석유화학제품을 대체·보완하는 생물화학제품 개발이 추진되고 있다. 암, 당뇨병, 류마티스성 관절염 등 불치병·난치병 치료제 등이 대표적인 블록버스터 단백질 의약품으로 시판되고 있으며, 매출규모는 500억달러 이상으로 추정되고 있다. 생물의약품 시장 관계자는 “국내에서는 바이오시밀러(Bio-Similar) 등이 각광받으며 생물의약품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지만 기반이 되는 단백질소재 개발은 세계적인 추세에 비해 더딘 것이 사실”이라며 “효소를 비롯한 생물체내 단백질에 대한 기초연구 지원이 시급하다”고 지적했다. 산업용 단백질은 식품용, 세제용, 화장품용, 섬유 및 펄프용, 화학공업용 등 다양한 산업분야에서 사용되는 특수효소군이 주를 이루고 있다. <화학저널 2010/9/13> |
한줄의견
관련뉴스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파인세라믹] 세라믹, 일본과 공동 연구개발 추진 | 2025-10-16 | ||
[금속화학/실리콘] 케미탈, 친환경 동박 표면 후처리 기술 개발 | 2025-10-15 | ||
[리사이클] 사이엔스코, 설폰 CR 기술 개발 | 2025-10-13 | ||
[자동차소재] HS효성, 친환경 타이어 소재 개발 | 2025-09-23 | ||
[석유화학] 켐트로닉스, 반도체용 PGMEA 개발 | 2025-09-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