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열 가능성 심장혈관 부위 예측 … 심장마비 조기 발견 가능
화학뉴스 2011.11.07
동맥경화로 손상될 가능성이 큰 심장혈관 부위를 미리 알아낼 수 있는 기술이 개발됐다. 고려대 구로병원 심혈관센터 김진원 교수는 미국 하버드대 유홍기 박사팀과 함께 동맥경화로 파열이 발생할 가능성이 큰 심장혈관 부위를 조기에 알아낼 수 있는 <광학 나노 분자영상 융합기술>을 개발했다고 11월7일 발표했다. 연구결과를 담은 논문은 세계적 의학저널인 <네이처 메디슨> 최근호에 실렸다. 연구팀에 따르면, 새로 개발된 기술은 동맥경화에 따른 파열을 일으키는 주원인으로 알려진 염증 반응을 영상화한 것으로 매개체로는 단백질 분해효소에 의해 활성화돼 근적외선 영역에서 형광 빛을 발생시키는 나노 물질이 이용됐다. 연구팀은 “심근경색 등의 심장마비 질환은 관상동맥의 동맥경화반(동맥플라크)이 파열되면서 발생하는 혈전이 혈관을 막아 발생한다”며 “파열되기 쉬운 동맥경화반을 조기 발견할 수 있게 된다면 심혈관 질환을 정확히 진단하는 데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김진원 교수는 “혈관 속 동맥경화반의 파열에 취약한 부분을 미리 알아낼 수 있는 분자 수준의 변화 및 형태학적 변화를 동시에 영상화할 수 있어 임상 적용에 한발 더 다가섰다”고 주장했다. <저작권자 연합뉴스 - 무단전재ㆍ재배포 금지>
사진, 이미지: < 심혈관 질환 영상 신기술 모식도 >
<화학저널 2011/11/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