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1년 경제성장률이 전망치에 비해 낮은 3.6%를 나타냈다.
한국은행은 <2011년 4/4분기 및 연간 국내총생산>에서 2011년 실질 GDP(국내총생산)가 경기둔화로 민간소비, 설비투자, 건설업이 부진함에 따라 2010년에 비해 3.6% 증가해 2010년 경제성장률 6.2%를 크게 하회했다고 1월26일 발표했다.
수출이 10.0% 성장했으나 민간소비와 설비투자가 각각 2.2%, 3.8% 늘어나는데 그쳤으며, 건설투자는 6.5% 감소했다.
또 수출, 수입, 설비투자가 연간 성장률을 상회한 반면, 민간소비, 정부소비, 재고증감 등은 연간 성장률을 밑돌았다.
업종별로는 제조업이 7.1% 성장해 2011년 경제성장을 견인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전기가스ㆍ수도업이 3.4%, 서비스업 2.6% 성장했고 농림어업은 1.0%, 건설업 5.6% 감소했다.
실질 국내총소득(GDI)은 전년대비 1.1% 증가했으며, 국제유가 상승에 따라 실질 무역손실이 늘어나 국내총소득이 경제성장률을 밑돈 것으로 해석된다.
2011년 4/4분기 성장률은 3/4분기에 비해 0.4%, 전년동기대비 3.4% 상승한 가운데 민간소비(-0.4%), 정부소비(-1.7%), 설비투자(-5.2%), 건설투자(-0.3%), 수출(-1.5%), 수입(-3.1%) 등이 모두 마이너스를 기록했으나 재고증감 항목만 0.6%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은행 관계자는 “연간 성장률이 전망치에 비해 낮은 것은 경기둔화 등의 영향으로 민간소비, 정부소비가 모두 부진했기 때문”이라고 밝혔다.
또 “4/4분기 수출 성장률은 전년동기대비 5.2%로 2009년 3/4분기 1.1% 이후 최저치”라며 “일부 업종의 생산기지가 국내에서 외국으로 많이 이동한 영향도 있는 것 같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