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코스모, P-X 재가동 어렵다!
|
6월부터 80만톤 가동중단 … 일본산 M-X 수입으로 마진 악화
화학뉴스 2014.11.05
현대코스모는 P-X(Para-Xylene) 플랜트 가동이 힘겨워질 것으로 예상된다.
일본 Cosmo Oil과 합작으로 일본산 M-X(Mixed-Xylene)를 수입해 생산하고 있어 마진이 하락함에 따라 P-X의 수익성을 확보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현대코스모는 2014년 6월부터 No.2 벤젠(Benzene) 12만톤 및 P-X 80만톤 플랜트를 마진악화를 이유로 가동중단을 계속하고 있다. 수직계열화가 가능한 P-X 생산기업들은 스프레드 200달러 수준에도 가동이 가능하나 현대코스모는 최소 250달러 이상 넘어서야 가동이 가능한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하지만, 현대코스모는 P-X 공급과잉이 가속화되면서 2014년 1월 이후 스프레드가 대부분 250달러 이하를 지속함에 따라 P-X 가동이 어려워진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2014년 10월24일 P-X 가격은 FOB Korea 톤당 1054달러 수준이며 M-X는 FOB Korea 885달러로 스프레드가 170달러 수준을 기록해 수익성을 창출하기 어려운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현대코스모는 일본산 M-X 수입에 의존하고 있어 국산 M-X를 사용하는 국내기업에 비해 스프레드 개선이 어려운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일본 Cosmo Oil은 M-X 공급과잉이 지속되자 현대코스모에게 P-X 플랜트를 재가동하라고 압력을 넣고 있으나 현대코스모는 시황악화로 가동을 보류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시장 관계자는 “현대코스모는 일본 Cosmo Oil과 합작해 M-X를 국산으로 전환하기 어려울 것”이라며 “일본산 M-X를 저가에 공급받거나 생산한 P-X를 Cosmo Oil이 일본으로 다시 수입하지 않는 이상 200달러 수준의 스프레드로는 가동이 힘들다”고 밝혔다. <허웅 기자> <화학저널 2014/11/05> |
한줄의견
관련뉴스
|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 [석유화학] P-X, 불확실성과 PTA 수익 악화에 | 2025-09-25 | ||
| [석유화학] P-X, 방향성 부재 속 하락세 지속.. | 2025-09-11 | ||
| [석유화학] P-X, 시장 정체되며 관망 기조로… | 2025-09-05 | ||
| [석유화학] PTA, P-X‧겨울 수요에 올랐지만… | 2025-08-29 | ||
| [석유화학] P-X, 스프레드 확대에 마진 개선! | 2025-08-29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