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OE, LG화학․SK종합화학 맞대결
|
LG, POE 생산능력 29만톤으로 확장 … SK는 Sabic과 22만톤 합작 화학뉴스 2015.06.19
국내 석유화학기업들이 메탈로센(Metallocene) 촉매를 활용한 PO(Polyolefin) 사업을 강화하고 있다.
LG화학은 대산 소재 POE(Polyolefin Elastomer) 9만톤 플랜트를 2020년까지 29만톤으로 확대할 계획이다. 이르면 2015년 정식 결정한다. SK종합화학도 Sabic과 합작으로 PO 사업을 적극 추진하고 있으며 메탈로센계 LLDPE(Linear Low-Density Polyethylene) 플랜트를 2015년 가동할 계획이다. 국내 석유화학기업들은 수익성 악화에 따라 고부가가치 사업 추진을 확대하고 있다. LG화학은 대산에서 메탈로센계 LLDPE 플랜트를 가동하고 있으며 C6 및 C8 계열 가운데 2008년 C8를 POE용으로 전환해 국내 최초로 메탈로센 촉매를 사용한 엘라스토머(Elastomer)와 플라스토머(Plastomer) 생산을 개시했다. 세계 POE 시장이 연평균 7% 성장하고 있기 때문이다. POE 증설은 유럽 및 미국을 중심으로 수요가 증가하고 있으며 60%를 차지하고 있는 자동차용 수요신장률이 양호한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POE는 PP(Polypropylene) 컴파운드에 첨가함으로써 자동차부품의 내구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특징이다. Dow Chemical, ExxonMobil, Mitsubishi Chemical(MCH) 등도 POE를 생산하고 있다. SK종합화학도 Sabic과 공동 개발한 한화케미칼 역시 2014년 말 여수 소재 LLDPE 플랜트를 일부 메탈로센 베이스로 전환해 생산을 시작한 것으로 알려졌다. 국내 석유화학기업들은 범용제품의 수출 둔화 및 수익성 악화를 극복하기 위해 고기능성 POE 사업을 적극 추진하고 있다. |
한줄의견
관련뉴스
|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 [EP/컴파운딩] POE, 기회와 위기의 경계에서… | 2025-06-26 | ||
| [에너지정책] 롯데케미칼, POE 생산 중단한다! | 2025-04-18 |
|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 [EP/컴파운딩] POE, 중국 생산능력 400만톤 공급과잉 심화 우려된다! | 2025-06-20 | ||
| [화학경영] 완후아, MDI·TDI 시장 장악에 태양광용 POE도 욕심… | 2024-10-11 | ||
| [EP/컴파운딩] 중국, POE 250만톤 확대한다! | 2024-07-19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