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도체칩, 인공지능 세계 최초 구현
서강대, 뇌와 유사기능 원천기술 개발 … 높은 집적도에 에너지 절감
화학뉴스 2015.10.20
국내 연구진이 반도체와 나노기계 융합기술로 뇌와 비슷한 기능을 하는 반도체 원천기술을 개발했다.
한국연구재단은 서강대 전자공학과 최우영 교수 연구팀이 <3차원 인공지능 반도체 칩>을 세계 최초로 구현하는 데 성공했다고 10월19일 발표했다. 반도체 칩의 원형이라고 할 수 있는 <폰노이만 방식>은 단순작업을 빠르고 효율적으로 수행하는데 우수하지만 유연성·적응력·진화·학습 등 인간의 뇌와 같은 기능을 하기에는 한계가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연구팀은 전자회로에서 신호전달 스위치 역할을 하는 <나노기계>를 인간의 뇌 모양과 유사한 3차원 형태로 집적하기 위해 새로운 구조와 전압레벨에 대한 연구를 수행한 결과 기존 2차원 상보형 금속산화물반도체회로(CMOS)에 나노기계회로를 3차원으로 집적하는데 성공했다. 연구성과는 기존 반도체보다 50% 이하의 매우 낮은 에너지로도 인간의 뇌와 유사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는 사실을 처음 규명한 것이다. 연구팀이 3차원 융합 집적기술을 이용해 개발한 인공지능 반도체 칩은 2차원으로 집적된 CMOS 회로 기술을 통한 인공지능 반도체 칩보다 400% 향상된 집적도와 50% 이상 낮은 에너지를 소모하는 것을 확인했다. 최우영 교수는 “연구결과는 인간을 더 잘 이해하고 상호 교감할 수 있는 전자기기를 구현하는데 많은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화학저널 2015/10/20> |
한줄의견
관련뉴스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기술/특허] 인공지능, 기술·정보 통합 시스템화 | 2024-04-12 | ||
[기술/특허] 화학기업, 인공지능 역량 강화하라! | 2023-08-18 | ||
[엔지니어링] 화학공장, 인공지능 적용 본격화 | 2023-06-02 | ||
[기술/특허] SK케미칼, 인공지능 활용 다양화 | 2023-03-22 |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정밀화학] 촉매 ②, 차세대 트렌드 대응 확대 인공지능 기술 활용한다! | 2024-05-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