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의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필름 메이커들이 최근 한국산 PET필름의 저가수입으로 큰 피해를 입었다고 주장, 덤핑방지관세 163%를 부과해줄 것을 요청, 초미의 관심사가 되고 있다. 한국 국내 PET필름 시장은 1996년까지 Magnetic용 자가수요를 바탕으로 SKC, 새한 및 코오롱 3사체제를 이뤄 안정적인 수급을 나타냈다. 그러나 1997년 효성생활산업 및 고합이 Polyester Fiber를 바탕으로 각각 1라인, 2라인으로 신규진입한데 이어 화승인더스트리가 OPP필름을 바탕으로 PET필름 1라인을 신규도입함에 따라 국내 총 생산능력이 28만4200톤으로 미국, 일본에 이어 단일국가로는 3위의 생산능력을 갖추게 됐다. 반면, 국내수요는 1995년 자기용 7만8800톤, 산업용 3만5200톤 등 11만4000톤에서 1997년 12만5000톤으로 사실상 정체상태를 나타낸데 이어 1998년에는 11만8200톤으로 5.4% 감소했다. 전반적인 수요침체 외에 장기적으로 자기용 필름 수요감소가 불가피하다는 추세를 반영한 것으로 결국 폭발적인 신증설 붐이 사상누각이었음을 증명하고 있다. 자기용은 1997년부터 소폭의 감소세로 돌아서 1998년에는 10% 이상 감소, PET필름 수요감소를 주도했다. 따라서 국내 PET필름 시장은 풀가동을 가정했을 때 생산량의 60%에 해당하는 16만톤 이상의 수출부담을 안게 됐다. 표, 그래프: | PET필름 생산능력 | PET필름 가격추이 | PET필름 수요현황 | PET필름 수요동향 | 고합의 Film 생산능력 | 효성의 Flim 및 Coating 생산능력(1999) | 화승인더스트리의 Flim 생산능력 | 새한의 PET필름 생산능력(1999) | 새한의 지분구성비 | PET 및 Nylon 필름 해외 프로젝트 | 필름 코팅라인 보유현황 | 세계 PET필름 수급밸런스(1997) | Mitsubishi의 PET필름 생산능력 | 7대 메이저의 PET필름 생산능력(1999) | PET필름 M&A 동향 | Toray의 PET필름 증설 프로젝트> | < 화학저널 1999/9/6 > |
한줄의견
관련뉴스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농화학] 농약, 일본이 국내시장 “군침” | 2025-09-23 | ||
[바이오연료] 현대오일뱅크, 국내 SAF 시장 진출 | 2025-09-22 | ||
[신재생에너지] 한화큐셀, 국내 PPA 사업 확대 | 2025-07-16 | ||
[신재생에너지] SKI, 국내 최대 해상풍력단지 가동 | 2025-05-21 |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바이오연료] SAF, 미국, 세제혜택 타고 성장 국내시장도 활성화 “기대” | 2025-07-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