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력 수출제품 생산기업 10곳 중 8곳은 주력제품이 쇠퇴기 또는 정체기에 접어든 것으로 조사됐다.
대한상공회의소가 최근 가전·반도체·자동차·석유화학 등 13대 수출제품 생산기업 300개사를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응답기업의 66.3%가 주력제품의 매출 확대가 더디고 가격과 수익성은 점점 떨어지는 「성숙기」에 접어들었다고 답했다.
매출과 영업이익이 모두 감소하는 「쇠퇴기」에 들어섰다는 응답기업은 12.2%에 달했다.
매출이 빠르게 늘면서 고이익을 거두는 「성장기」라고 답한 곳은 21.5%에 그쳤으며 새로운 시장이 태동하는 「도입기」라는 곳은 전무했다.
성숙기라고 답한 분야는 컴퓨터(80%), 섬유(75%), 평판디스플레이(72.2%), 무선통신기기(71.4%)에서 많았고 자동차(50%), 반도체(41.7%)는 비교적 적었으며 쇠퇴기라고 응답한 곳은 선박(26.1%), 섬유(25%), 평판디스플레이(22.2%) 순이다.
응답기업의 86.6%는 신사업 추진에 나설 예정이라고 답했으며 새로운 사업을 시도하기보다는 기존사업과 연관된 분야(45.7%)나 동일 분야를 추진하려는 경향이 강했다.
ICT 융합(47.9%), 신소재·나노(28.6%), 에너지 신산업(26.1%), 서비스산업 결합(9.7%), 바이오헬스(5.9%) 순으로 나타났다. ICT 융합의 구체적 대상으로는 IoT·스마트홈(43.9%), 드론·무인기기(30%), 3D 프린팅(12.3%), 인공지능·로봇(11.5%), 가상·증강현실 시스템(4.3%)을 제시했다.
조동철 KDI 수석이코노미스트(대한상의 자문위원)는 “최근 산업트렌드를 살펴보면 과거 원가절감 등 가격경쟁이 주가 되던 시기를 지나 혁신적 아이디어에 기반한 첨단기술 경쟁으로 빠르게 재편되고 있다”며 “산업간 경계를 뛰어넘어 고부가가치 융합분야에 대한 적극적이고 속도감 있는 대응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그러나 구체적인 성과를 내기까지는 시간이 걸릴 것으로 파악된다.
가능성 검토단계(56.6%)에 있다는 응답기업이 기술력 확보 등 착수단계(23.2%)와 출시단계(10.5%)에 있는 곳보다 많았기 때문이며 64.8%는 자체 연구개발을 통해 추진한다고 응답했다. 외부기술 도입(15.8%), 공동투자나 M&A(9.9%) 등의 방식도 있었다.
신사업 추진과정에서 겪는 어려움으로는 49.5%가 불투명한 수익성을 꼽았다. 관련 기술과 노하우 부족(21.8%), 장기전략 부재(15.8%), 미래정보 부족(11.9%) 등의 답변도 있었다.
신사업 추진을 앞당길 방안으로는 안정적인 자금공급(26.1%), 규제개혁(20.5%), 테스트베드 활성화(17.8%), 사업재편과 M&A 등 자발적 구조개선 지원(17.2%) 등을 주문했다.
최근 정부가 발표한 신산업 투자지원 정책에 대한 의견을 묻는 질문에 92.8%가 도움이 된다고 답했다. <이하나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