후성(대표 송한주‧김용민)은 육불화인산리튬(LiPF6)의 가격 하락세가 둔화됨에 따라 수익성이 개선될 것으로 예상된다.
LiB(Lithium-ion Battery) 전해질로 사용되는 LiPF6은 최근 주요 원료가격이 잇따라 강세를 나타내고 있고 중국에서 환경규제로 가동을 중단한 생산기업들이 많을 뿐만 아니라 현지 신흥기업들이 주도해온 저가경쟁도 일단락된 영향으로 장기간 이어진 하락세에 제동이 걸리고 있다.
아울러 중국 정부의 신에너지 자동차(NEV) 보조금 감축으로 가동률을 낮추었던 배터리 생산기업들이 이르면 2018년 구정 이후 가동을 재개할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수요가 회복되면 상승세로 전환될 가능성도 제기되고 있다.
LiPF6는 중국 정부의 NEV 보급정책 추진을 타고 현지 배터리 생산기업에 대한 보조금 제도가 신설된 영향으로 수요가 급증하고 있다.
2016년 여름에는 리튬 화합물 거래가격이 급등하며 현지 LiPF6 생산기업들이 원료 조달에 어려움을 겪으며 가격이 상승했다.
그러나 2017년 들어 Shandong에서 신흥기업들이 시장점유율 확보를 위해 의도적으로 가격을 낮추었고 정부의 보조금 감축으로 배터리 생산이 정체됨에 따라 가격이 하락세로 전환됐다.
최근에는 하락세가 멈추어 저가경쟁이 일단락된 것으로 파악된다.
주요 원료가격은 리튬 화합물이 세계적인 전기자동차(EV) 보급 정책 확산으로 고공행진을 지속하고 있고 인산은 원료 인광석의 중국 거래가격이 2016년 가을에 비해 1.5배 급등한 것으로 알려졌다.
또 불소는 과거 최고치를 갱신하는 등 전면적으로 강세를 나타내고 있다.
아울러 환경규제로 일부 LiPF6 생산기업들이 가동을 중단한 것 역시 하락세에 제동을 건 것으로 파악된다.
배터리 생산기업들은 정부의 보조금 감축을 이유로 LiB 생산을 조정하고 있으나 2018년 구정 이후 순차적으로 가동을 재개할 것으로 예상된다.
LiPF6는 주요 원료가격이 모두 하락할 가능성이 없고 2018년 봄 이후 중국 수요 부활에 맞추어 가격이 상승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강윤화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