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에너지, 화학 산업계가 중국을 겨냥한 트럼프 행정부의 2차 관세 폭탄을 막기 위해 활발한 로비를 벌이고 있다고 로이터통신이 7월6일 보도했다.
트럼프 행정부가 기술과 제조업 중심으로 340억달러에 상당하는 중국산에 25%의 관세를 부과하지 않도록 하려는 노력이 무위에 그치자 에너지, 플래스틱, 화학제품을 위주로 한 160억달러 상당의 중국산에 추가 관세를 부과하지 않도록 트럼프 대통령을 설득하는데 주력하고 있다.
트럼프 행정부가 보복관세 부과를 강행하면 미국산 원유, 플래스틱, 화학제품도 중국의 보복을 받을 수 있기 때문으로, 미국 에너지 및 화학산업은 셰일(Shale) 붐에 힘입어 중국수출 확대에 주력하고 있다.
미국 석유연구소(API)는 의회가 앞으로 국가안보를 이유로 한 관세부과 조치를 심의토록 하는 법안을 지지하고 있으며, 해당 법안은 상원에 계류된 상태이다.
미국 독립석유생산자협회(IPAA)도 관세 부과대상에서 석유 시추에 사용되는 특수강을 포함한 일부 품목을 제외해줄 것을 요구하고 있다.
폴리머·포장소재 생산기업인 플랜트지스틱스의 마크 레바인 최고경영자(CEO)는 “중국수출 확대를 기반으로 수백만달러를 장비와 인프라에 투자했다”면서 “중국이 보복한다면 관련기업들에는 부정적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우려했다.
미국 화학산업협회(ACC)는 22억달러 상당의 중국산 플래스틱제품에 추가 관세를 부과하려는 트럼프 행정부의 계획을 반대하는 입장이다.
ACC는 54억달러 상당의 미국산 화학제품이 중국의 보복관세를 부과받으면 최근 증산에 나섰던 화학기업들이 직격탄을 맞을 수 있다고 우려하면서 보복이 현실화되면 공장을 폐쇄해야 하는 것은 물론 일자리도 위협받을 수 있다고 주장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