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과 중국의 무역마찰이 심화되면서 석유화학 중국 수출이 큰 타격을 받을 것으로 우려된다.
미국이 중국산 수입제품에 15-30%의 추가 관세를 부과하면서 중국의 중간소재 수입이 줄어들 수밖에 없는 가운데 중국 정부가 위안화 환율을 달러당 7위안 이하로 평가절하함으로써 중국의 달러화 베이스 수입이 크게 위축되고 있기 때문이다.
미국과 중국이 9월1일부터 상대국 수입상품에 추가 관세를 부과하며 무역전쟁의 골이 더욱 깊어지고 있다.
미국과 중국은 9월1일 오후 1시1분(한국시간)부터 추가 관세를 각각 부과하기 시작했다고 AP, 로이터통신 등이 보도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는 9월1일부터 총 1120억달러(약 135조원)의 중국산 수입제품에 15%의 추가관세 부과 조치에 돌입했다고 AP가 보도했다.
트럼프 행정부가 추가 관세를 예고했던 3000억달러의 중국산 수입제품에는 소비재가 상당수 포함돼 있다. 식료품, 가정용품이 타깃으로 1250억달러가 넘는 것으로 추산된다.
워싱턴포스트(WP)는 의류, 신발, 필기구, 기저귀, 텔레비전, 골프채, 낚싯줄 등에 대해 9월1일부터 15%의 추가 관세가 부과된다고 보도했다.
3000억달러 가운데 나머지는 12월15일부터 부과되며 핵심 정보·기술(IT)제품이 대상이다. 특히, 휴대전화와 랩톱은 교역액이 약 800억달러에 달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미국은 이미 2500억달러의 중국산 수입제품에 추가 관세 25%를 부과하고 있으며 트럼프 대통령은 10월1일부터 30%로 5%포인트 상향 조정한다고 밝힌 상태이다.
이에 따라 2019년 말에는 모든 중국산 수입제품에 15% 또는 30%의 관세장벽이 세워진다.
중국도 맞불 관세를 부과한다.
중국 정부는 미국산 5078개 수입품목, 750억달러 상당에 10%, 5% 관세를 추가 부과하며, 일차적으로 9월1일 낮 12시1분(현지시간)부터 적용한다고 발표한 바 있다. 12월15일 낮 12시1분부터 추가 관세도 부과한다.
1차적으로 9월1일 1717개 수입품목이 추가 관세 부과 대상이며 대두를 비롯해 돼지고기, 소고기 등이 포함됐다. 트럼프 대통령의 지지층에 타격을 입히겠다는 의도로 풀이된다.
중국은 12월15일부터 미국산 자동차와 부속품에 대해 보류했던 25%, 5%의 관세 추징을 재개할 계획이다.
중국은 미국의 수입규제에 대응해 위안화 환율도 대폭 평가절하고 있다.
위안화 환율은 8월23일 7.0572위안에서 8월30일 7.0879위안으로 하락했고 머지않아 7.1000위안 아래로 떨어질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