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이 국내 배터리 전문인력 유치에 적극 나서고 있어 민·관 차원의 종합대책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다.
한국무역협회가 12월3일 발간한 「중국, 인재의 블랙홀」 보고서에 따르면, 중국 정부는 2015년부터 산업 고도화 추진 전략인 중국제조2025를 추진하면서 해외 우수인재 유치에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다.
특히, 한국 배터리, 반도체, 항공 분야 인재들에게는 파격적인 복지 혜택을 제시하며 집중 유치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글로벌 배터리 1위인 CATL이 2019년 7월 대규모 채용을 진행하면서 한국 인재를 대상으로 기존 연봉의 3-4배를 제시했고, 비야디(BYD)도 연봉 외에 자동차, 숙소 등의 조건을 제공하며 한국 인재 채용을 실시했다.
보고서는 글로벌 시장 진출을 본격화한 중국 배터리 생산기업들이 인재 확보에 총력을 기울이면서 LG화학과 SK이노베이션이 기술 침해 및 인재 유출 논란으로 법적 다툼을 벌이는 혼란을 틈타 경쟁력이 높은 한국 전문인력들을 적극 유치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최대 부동산 그룹 헝다(Evergrande)는 연초 신에너지 자동차 전문기업을 설립하면서 8000여명의 글로벌 인재를 채용했으며 한국, 일본, 독일, 스웨덴 등 9개국 출신 경력자를 우대한다고 밝혔다.
반도체도 푸젠진화(JHICC)가 4월 인력 채용 공고를 내면서 10년 이상 삼성전자·SK하이닉스에서 엔지니어로 근무한 경력자를 우대한다고 명시하는 등 인력 빼가기를 노골화한 것으로 나타났다.
삼성전자는 산업 발전에 기여한 공로를 인정받아 2015년 산업통상자원부 장관 표창장을 받은 D램 설계 담당 전 임원이 중국 반도체 생산기업으로 이직함에 따라 전직금지 가처분 소송을 제기하기도 했다.
이밖에 투자기업이나 자회사에 취업시키는 형식으로 영입하는 방식도 있어 반도체 인력 유출은 통계조차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보고서는 배터리와 반도체산업의 고급인력 유출은 기술 경쟁력 약화를 초래할 수 있어 인력 유출 방지와 인재 유치에 대한 장기적인 정책 지원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무역협회에 따르면, 스위스 국제경영개발대학원(IMD)이 발표한 두뇌유출 지수에서 한국은 2018년 4.00점을 받아 63개 조사 대상국 중 43위에 그쳤다.
해당 지수는 10점 만점으로 낮을수록 해외로 나간 인재가 국내로 돌아오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