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플래스틱 첨가제 시장이 침체되고 있다.
플래스틱 첨가제는 플래스틱 본연의 우수한 성질을 유지하거나 새로운 특성을 부여하기 위해 사용되고 있으며 각종 플래스틱제품 개발 및 성형‧가공에 필수적으로 투입되고 있다.
그러나 코로나19(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의 영향으로 범용 플래스틱과 함께 수요가 줄어들고 있다.
다만, 최근에는 범용 플래스틱이 폭등하면서 가소제를 중심으로 플래스틱 첨가제 수요가 증가하고 현물가격이 급등 또는 폭등하고 있다.
하지만, 단기적 현상이어서 곧 진정될 것으로 예상되며 플래스틱 첨가제 생산기업들도 뉴노멀(New Normal) 시대에 대응한 사업전략 마련이 요구되고 있다.
자동차용 중심으로 수요 침체 지속
플래스틱 첨가제는 열화를 방지하는 PVC(Polyvinyl Chloride) 안정제‧가소제, 산화방지제, 광안정제, 기능성을 부여하는 난연제, 대전방지제, 조핵제, 성형성을 높이는 활제 등이 다양하게 사용되고 있다.
2019년에는 미국과 중국의 무역분쟁 속에서 글로벌 경제 성장 둔화로 자동차‧스마트폰 판매가 부진하자 수요가 감소했으며 2020년 들어서도 코로나19의 영향으로 수요 침체가 계속되고 있다.
플래스틱 첨가제 수요는 자동차 관련 용도를 중심으로 전자제품 및 가전제품, 주택 및 건축자재, 식품포장 시장의 흐름에 따라 좌우되고 있다.
그러나 최근에는 용도에 따라 차이가 나타나고 있다.
코로나19가 확산되면서 공장 가동을 중단하는 사례가 잇달았던 자동차는 최근 생산량이 평년 수준을 회복하고 있으나 플래스틱 첨가제를 포함한 소재에 파급되기까지는 다소 시간이 걸려 가을 이후 수요가 회복추세로 돌아서고 2021년부터 본격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건축자재, 일반 플래스틱제품도 마찬가지로 PVC 안정제, 범용 산화방지제 수요 부진이 계속되고 있다.
다만, 식품을 중심으로 한 포장 용도는 코로나19의 영향으로 가공식품 수요가 증가하고 배달문화가 정착되면서 급증하고 있다.
하지만, 첨가량이 적어 전체 수요에 미치는 영향은 크지 않은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재택근무 확대로 컴퓨터, 주변기기, 게임기기 수요가 늘어남에 따라 난연제 수요는 호조를 계속하고 있다.
플래스틱 첨가제 생산기업들은 코로나19의 영향으로 직접 수요처를 방문하기 어려워짐에 따라 온라인 전시회나 세미나에 참가해 수요처와의 접점을 모색하는 등 디지털 마케팅에 힘을 기울이고 있다.
DOP, 원료가격 폭등 타고 대폭등 현상
플래스틱 첨가제 중 수요가 가장 많은 가소제 DOP(Dioctyl Phthalate)는 폭등세가 가속화되고 있다.
DOP 현물가격은 11월 말 CFR China 톤당 1320달러로 200달러, CFR SE Asia도 1350달러로 150달러 대폭등했다.
PVC는 CFR China 톤당 1120달러로 20달러 상승에 그쳤고 수급에 별 변동이 나타나고 있지 않으나 원료가격이 폭등을 계속함에 따라 추가 폭등을 예상하고 구매를 확대함으로써 덩달아 대폭등한 것으로 파악된다.
원료 무수프탈산(Phthalic Anhydride)은 CFR China 965달러로 45달러, CFR SE Asia 990달러로 50달러 급등했다.
2-EH(Ethylhexanol)도 CFR China가 1240달러로 50달러, CFR SE Asia는 1280달러로 50달러 급등했다.
한화솔루션이 10월19일부터 2개월 일정으로 여수 2-EH 12만톤 플랜트를 정기보수하고, LG화학도 화재 사고로 스팀 크래커 가동을 중단하면서 여수 플랜트를 정상 가동하지 못하고 있는 영향이 크게 작용했다.
DOP는 대부분 PVC의 가소제로 투입되고 있으며 한때 인체 위해 우려로 수요가 감소했으나 최근 들어 다시 증가하고 있다.
바스프, 글로벌 생산능력 확대 주력
바스프(BASF)는 산화방지제, HALS(Hindered Amine Light Stabilizer), 자외선흡수제, 난연제, 투명핵제, 금속불활성화제, 대전방지제, 수지개질제 등 다양한 플래스틱 첨가제를 생산하는 글로벌 최대 메이저로 장기적 관점에서 시장을 주도하기 위해 전략적인 투자를 계속하고 있다.
바스프는 2016년 2억유로 이상을 투입하는 대규모 투자계획을 발표했다.
특히, 산화방지제 브랜드 Irganox 1010은 2019년 스위스에서 보틀넥 해소를 통해 생산능력을 30% 확대했으며 싱가폴에도 신규 라인을 건설해 2022년까지 생산능력을 2배로 확대할 계획이다.
중국에서는 상하이(Shanghai)에 다양한 입자 크기의 산화방지제 및 블렌드 공장을 신규 건설했다. 2019년 1분기에 No.1 설비를, 2019년 말 No.2 설비를 완공해 총 4만2000톤 생산체제를 완성했다.
이태리에서는 2021년 1분기 가동을 목표로 합성고무 노화방지제 등에 사용되는 Irganox 1520L 생산능력을 20% 확대하는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다.
바스프는 자동차, 건설, 식품포장을 포함한 6개 산업에 중점을 두고 수요기업 성장을 지원하는 전략을 추진하고 있다.
특히, 최근에는 폴리우레탄(Polyurethane)용 산화방지제 Irgastab PUR 70이 혁신소재로 주목받고 있다.
Irgastab PUR 70은 우레탄폼을 성형할 때 열안정성을 향상시켜 휘발성 유기화합물(VOCs) 발생을 억제할 수 있고 알데히드 및 아민 냄새를 방지할 수 자동차 시트용으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송원산업, 중국 중심 안정제 확충 본격화
송원산업은 중국을 중심으로 고기능제품 투입을 가속화하고 있다.
송원산업은 세계적으로 9개의 생산기지를 갖추고 있는 가운데 중국에서는 칭다오(Qingdao)에서 폴리머 안정제를 제조하고 탕샨(Tangshan)에서는 티오에스테르(Thioester)계 산화방지제 원료 및 중간체 등을 자체조달하고 있다.
특히, 중국은 PVC 안정제 수요가 급증하고 있다.
자동차용 와이어 하니스와 시트 소재 등으로 사용하는 연질 PVC는 배관 설비, 전기 피복, 인조가죽, 광고 자재, 물놀이 기구 등 공기 주입식에서 고무 대신 사용되며 수요가 증가하고 있으며 비납 타입 전환이 빠르게 이루어지면서 칼슘계 판매가 호조를 나타내고 있다.
경질 PVC는 건설자재, 수도관 등에 투입되며 중국 정부의 환경규제 흐름을 타고 비납계 안정제 채용이 증가하고 있다.
송원산업의 분상 복합 안정제 SONGSTAB은 간편하고 효율적이며 정확한 용량의 첨가제 주입을 위해 각종 안정제, 활제 및 기타 첨가제를 혼합 제조한 안정제로, 필요한 첨가제를 조합해 하나의 패키지로 공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1회 주입량 조절이 간편한 것이 강점이다.
압출, 캘린더 가공 및 사출성형 등을 비롯해 각종 용도에 맞추어 커스터마이즈한 솔루션을 제공하고 있다.
액상 복합 안정제는 PVC 가공에 필수적이며 제조공법과 최종 용도에 따라 액상 형태로 이용할 수 있으며, 서스펜션 PVC 및 플라스티졸 등을 포함해 광범위한 용도에 공급하고 있다.
금속 석검 안정제는 칼슘, 아연과 마그네슘 기반으로 제조해 산성물질 제거제 역할을 하고 무독성 컴파운드에 사용되고 있다.
유기주석 안정제는 열 안정성, 내기후성과 투명성이 탁월하며 PVC에 사용되는 다른 첨가제들과의 호환성이 매우 높은 것으로 알려졌다.
송원산업은 부틸 주석, 옥틸 주석과 메틸 주석 형태로 광범위한 응용 분야에 활용할 수 있는 유기주석 안정제를 판매하고 있으며, 특히 PVC 경질제품에 적극 공급하고 있다.
유연성과 내구성을 향상시키는 PVC 가소제는 SONGCIZER 브랜드로 공급하고 있다.
작업성이 우수하면서도 열기와 저온, 빛과 점성 변동 등에 내성이 강한 특성을 필요로 하는 분야에 적합하며 주로 합성 윤활제 성분으로 저온에 내성이 강한 PVC에 사용되고 있다.
고온과 저온을 잘 견디는 그리스에도 투입하고 있다.
앞으로도 주요 소비국인 중국에서 다양화되는 수요에 맞추어 새로운 기능을 갖춘 신제품을 잇따라 공급할 예정이다.
아데카, 고기능제품 증설 적극화
아데카(ADEKA)는 2018년 시작한 중기 경영계획 Beyond 3000에서 플래스틱 첨가제를 중점사업으로 설정하고 범용부터 고기능제품까지 전방위적 라인업을 활용해 글로벌 시장 공략을 강화하고 있다.
아데카는 ADEKA Stab, ADEKA Cizer 브랜드로 핵제‧투명화제, 산화방지제, 광안정제 등 다양한 첨가제를 공급하고 있으며 인계 중심의 난연제, PVC용 안정제‧가소제 등을 포함해 광범위한 영역을 커버하고 있다.
일본에서는 2018-2019년 미에(Mie) 공장에서 핵제‧투명화제, 산화방지제, 광안정제 등 고기능성 첨가제를 생산하는 멀티설비를 적극적으로 증설했다.
중국에서는 2020년 1월 저장성(Zhejiang)에 팽창(Intumescent)성 난연제 공장을 신규 건설해 8월부터 상업가동을 시작했다.
최근에는 축합 인산에스테르(Phosphate Ester)계 난연제 ADEK Stab FP-600 판매가 호조를 보이고 있다.
ADEK Stab FP-600은 컴퓨터 및 디지털 가전 케이스에 채용되고 있으며 코로나19에 따른 원격업무 증가의 영향으로 특수를 맞아 타이완 및 중국 공장을 풀가동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폴리올레핀(Polyolefin)용 팽창성 난연제 ADEK Stab FP-2000 시리즈 기술을 응용해 폴리우레탄에 대응한 ADEK Stab FP-2600U도 새롭게 개발했다.
연소할 때 검은 연기와 일산화탄소(CO) 발생량을 대폭 억제할 수 있어 화재가 발생했을 때 안전성이 높고 인장강도도 뛰어나 전선피복 등을 대상으로 공급을 확대할 방침이다.
PP(Polypropylene)용 고성능 핵제‧투명화제 ADEK Stab NA 시리즈는 강도를 유지하면서 경량화에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환경성능도 뛰어나 자동차 범퍼를 중심으로 투입되고 있다.
산요, 영구대전방지제로 신규시장 개척
산요케미칼(Sanyo Chemical)은 영구대전방지제, 수지개질제를 생산하고 있으며 세계에서 유일하게 공급하고 있는 올레핀(Olefin) 조성의 대전방지제를 중심으로 신규용도 개척 및 신제품 개발에 주력하고 있다.
고분자형 영구대전방지제는 Pelestat 및 전기저항이 적은 Pelectron 브랜드를 공급하고 ABS(Acrylonitrile Butadiene Styrene) 등 스타이렌(Styrene)계, 나일론(Nylon)계, PE(Polyethylene), PP 등 폴리올레핀에 상용화제 없이 균일하게 혼합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최근에는 코로나19의 영향으로 자동차 관련 매출이 감소했으나 신규용도 개척이 성과를 나타내고 있다.
미국을 중심으로 의약품 원제 및 중간체 포장봉투용, 가루약 흡인기용 등 의료용 수요가 증가하고 있으며 중국에서는 보안제품, 한국에서는 전자기판 반송용 필름 등에 채용을 시작했다.
안정공급을 위해 2022년 4월 가동을 목표로 타이에 신규 설비를 건설하는 등 해외 생산체제 구축에 힘을 기울이고 있다.
수지개질제는 라인업을 확충하고 있다.
상용성 향상제 등으로 이용되고 있는 Umex 브랜드는 새롭게 저융점 타입을 자동차 도장용 등으로 제안해 2021년 봄 출시를 앞두고 있다.
내약품성 향상제는 PC(Polycarbonate), ABS 등에 최적인 수지용 첨가제로 자동차, 가전, 건축용 등에 투입할 계획이며 샘플작업에서 높은 평가를 받은 것으로 알려졌다.
DKS, PLA 개질제 사업화
DKS는 컵 등 PLA(Polylactic Acid) 베이스 용기에 내열성, 투명성 등을 부여하는 개질제 브랜드 Tribio를 공급하고 있다.
특히, 10% 희석 타입 마스터배치 그레이드 2개는 북미, 일본에서 생분해성 및 바이오 인증을 취득했다.
PLA 용기에 투명성‧내열성을 부여하는 Tribio T-310MB, 내열성‧내충격성을 실현하는 Tribio S-920MB는 북미에서는 생분해성 규격인 ASTMD6400, BPI, 일본에서는 바이오플래스틱협회의 Green 인증을 취득했다.
PLA는 세계적으로 공급부족이 계속되고 있으나 타이완 및 북미기업이 개발을 지속해 Tribio를 채용한 용기가 곧 출시될 것으로 알려졌다. 중국도 PLA 생산을 활성화하면서 관심을 표명하고 있다.
DKS는 최근 투명성‧내열성 강화 요구가 높아짐에 따라 수요기업이 생산하는 PLA의 특성에 맞춰 공급할 방침이다.
Pyroguard 브랜드로 공급하고 있는 브롬(Bromine)계 난연제는 코로나19의 영향으로 수요가 침체됐으나 중국에서는 회복조짐이 나타나고 있다.
ABS 등에 소량을 첨가해도 효과를 발휘하는 특성을 활용해 가전을 중심으로 점유율을 끌어올릴 방침이고, 이스라엘 ICL Industrial Product와 합작으로 가동하고 있는 공장도 증설을 검토하고 있다. (강윤화 선임기자: kyh@chemlocu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