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코가 배터리 소재 사업을 더욱 확대할 것으로 예상된다.
포스코는 3월12일 강남구 포스코센터에서 온·오프라인으로 열린 제53기 주주총회에서 최정우 회장의 연임을 결정했다.
최정우 회장은 부산대 경제학과를 졸업해 1983년 포스코에 입사했고 재무실장, 정도경영실장, 가치경영실장을 거쳐 2017년 대표이사 사장을 지냈으며 2018년에는 포스코켐텍(현 포스코케미칼) 대표이사 사장을 역임했다.
이후 2018년 7월부터 중도 하차한 권오준 전 회장을 이어 포스코를 이끌고 있다.
최정우 회장은 포스코가 사회 일원으로 경제적 수익 뿐만 아니라 공존·공생의 가치를 추구하는 기업시민으로 발전하겠다는 경영이념을 제시해 적극적으로 실천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최정우 회장은 “도전적인 경영환경에 대응해 인공지능(AI) 기술을 활용한 저원가·고효율 생산체제를 더욱 강화하겠다”면서 “친환경 자동차, 강건재 등 미래 성장동력 수요 선점에 집중하겠다”고 강조했다.
이어 “포스코 그룹 사업은 액화천연가스(LNG), 식량 등 핵심 성장동력 중심으로 가치사슬 확대에 나서고 2차전지 소재 사업은 생산능력 확대 지속, 리튬·니켈 등 원료 내재화 및 기술 경쟁력을 강화해 글로벌 톱티어로 도약하겠다”고 덧붙였다.
포스코 그룹은 기존 주력사업인 철강 분야 경쟁력 강화 및 수익성 회복과 함께 차세대 성장동력으로 적극 육성하고 있는 2차전지 소재와 수소 등에 대한 투자를 강화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한편, 주주총회에서는 재무제표 승인, 정관 변경, 사내이사 선임, 사외이사 선임 등 6개 안건이 상정됐다.
정관 변경에는 최고 의사결정기구인 이사회 차원에서 ESG(환경·사회·지배구조) 관련 정책을 결정하고자 이사회 산하 전문위원회에 ESG 위원회를 신설하는 안이 포함됐다. (강윤화 선임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