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국산 코로나19(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 백신 개발에 속도를 내고 있다.
정부는 6월25일 코로나19 치료제·백신 개발 범정부지원위원회 제10차 회의를 열고 하반기 코로나19 백신 개발 지원 방안과 국내 mRNA(전령 RNA) 백신 기술 현황 및 지원 방안, 신변종 감염병 대응 연구과제 지원계획 등을 논의했다.
국내에서는 현재 5개 백신 개발기업이 임상1상 접종을 완료한 것으로 파악된다.
합성항원백신을 개발하고 있는 SK바이오사이언스(임상1/2상)와 유바이오로직스(임상1/2상), DNA 백신을 개발하고 있는 제넥신(임상1/2a상)과 진원생명과학(임상1상), 바이러스벡터 백신을 개발하고 있는 셀리드(임상1/2a상) 등 5사는 하반기부터 단계적으로 임상3상에 진입할 계획이다.
이를 위해 정부는 5사에 1대1 맞춤상담과 사전검토 등의 지원 서비스를 제공할 예정이다.
식품의약품안전처가 시범 운영하고 있는 중앙임상시험심사위원회(중앙 IRB)를 조기에 가동해 기존에 제약기업들이 의료기관별 임상시험심사위원회(기관 IRB)의 승인을 받으면서 겪어야 했던 불편함을 해소할 방침이다.
코로나19 임상시험을 모집하는 국가임상시험지원재단을 중심으로 임상 참여자 사전 모집도 진행하고 있으며 임상3상이 본격화하면 참여자를 연계할 예정이다.
아울러 정부는 2021년 말까지 687억원을 투입해 제약기업의 임상 비용을 지원하고 필요한 경우 추가 예산을 확보할 계획이다.
임상2상 중간결과가 도출되고 임상3상 진입에 성공하면 백신의 면역원성과 안전성, 성공 가능성, 생산능력, 접종 용이성 등을 고려해 선구매도 시작하기로 했다.
정부는 화이자(Pfizer)와 모더나(Moderna) 등 해외기업이 개발한 코로나19 백신 플랫폼인 mRNA 기술을 자립화하기 위한 계획도 수립할 방침이다.
mRNA 백신은 코로나19의 특이 스파이크 단백질을 만드는 유전자를 RNA 형태로 만들어 몸에 투여하는 방식으로 만들어지며 국내에는 동일 방식으로 코로나19 백신 임상시험을 시작한 곳이 없다.
정부는 mRNA 방식을 국산화하기 위해 제약기업을 상대로 2차례의 기술 수요조사를 진행했고 항원 디자인 및 최적화, 원자재 생산, IVT 벡터 및 mRNA 생산, 지질나노입자(LNP) 등 백신 전달체 생산, 정제, 대량생산, 효능평가 등 7개 분야의 기술이 필요하다는 결론을 내렸다.
약 10여개의 관련기업이 mRNA 방식 백신 임상시험을 계획하고 있다는 것을 확인하며 동시에 국내 mRNA 백신 기술이 해외보다 약 3년 정도 뒤처져 있다는 사실도 파악했다.
앞으로 기술 격차를 줄이기 위해 부처별로 역할을 나누어 mRNA 백신 개발기업을 지원할 계획이다.
이밖에 신·변종 감염병 대응 플랫폼 핵심기술 개발 사업을 추진해 또 다른 감염병이 발생했을 때 효율적으로 예측·진단·치료·예방할 수 있는 체계를 갖출 방침이다.
이를 위해 2021년부터 2024년까지 4년 동안 예측, 진단, 치료제, 백신 분야에서 총 12개 과제를 지원하기로 했다. (강윤화 선임기자)